최근 글로벌 경기의 수요 둔화는 장기적인침체인가요?
물가도 안정적이지 못하고 금리도 지속 고금리인데요 기업들은 투자에 신중하고 이런 글로벌 경기 불황은 언제쯤 끝이날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 수요둔화는 당연히 장기적인
침체를 이끌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관세인상 등의 이슈가 어느정도
해소되어야 불황이 어느정도 끝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불황에 대한 것은 일단 금리와 같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금리를 인하한다는 것은 경기불황에 따라 내수경제가 얼어붙어, 이러한 것에 대한 자금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금리 인하를 합니다. 따라서 해당되는 금리의 변동을 보고 이러한 경기회복이 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이며, 특정 기업이나 섹터에서 성장의 결과로 수익이 실현될때 이러한 성장성이나 수요 증가가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로 보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 대부분 물가상승률은 나름 안정적이지만 경제성장률이 낮은게 문제죠
우리나라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글로벌 경기침체는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에 큰 타격인데 게다가 내수시장은 거의 폭망수준이니 좋을게 없는 상황입니다
결국은 미국 경기가 살아나야 글로벌 경기도 살아나겠지만 현재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은 더 커진 상황이니 글로벌 경기가 좋아지는건 사실상 기약이 없는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 침체라기 보다는 미국의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물가 압박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같은 돈으로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의 갯수가 하락하기 때문에 글로벌 수요가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트럼프가 하고 있는 행위는 글로벌 효용의 전체 값을 하락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누구도
이익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글로벌 경기가 불안정하고 침체된 이유는 미국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제불확실성이 커지고 자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라 상호간 무역갈등으로 발발했는데요. 장기적인 흐름이 이어갈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근 글로벌 경기 수요 둔화는 장기적 침체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우-러 전쟁, 미국 관세 문제 등으로
세계 경제는 여전히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고
글로별 경기 둔화도 이어지지만 이를 장기적 경기 침체로 보기에는
아직 이른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계속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경기 침체로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