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똘똘한독수리232
똘똘한독수리23222.05.04

제가 우울증일까요? 병원 진료는 많이 비쌀까요?

나이
23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자살하고싶은 마음은 없지만 살고싶은 마음도 없어요. 혼자있으면 눈물이 흘러요. 그렇다고 누군가랑 같이 있고 싶지않아요. 매일 울어요. 제가 싫어요. 숨쉬고 있는게 싫어요. 마음이 계속 아파요. 기분이 계속 좋지않아요. 무기력해요. 우울증이 맞을까요..? 정신병원 진료 받아좌려할까요..? 가격은 많이 비쌀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아무래도 우울증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별한 이유 없이 이런 증상을 보이고

    있다면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우울증은 시작 단계부터

    치료를 받는 것이 질병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하여 비용으로 인해 시간이 지나서 치료를

    하려고 할 때 더 많은 비용을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우울증의 증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진료비는 비싼편이 아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진료 비용에 대해서는 안내 드릴 수 없으며 시행하는 검사에 따라 다르므로 미리 알기도 힘듭니다.

    우울증은 정신과 전문의가 직접 상담을 하고 환자가 작성한 설문지 등을 바탕으로 진단됩니다. 말씀하신 증상만으로는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맞다고 생각되며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셔서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현재 심리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를 보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우울증에 가까워 보이지만 전문의와 진료 및 검사 이후 진단에 맞는 치료를 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내용을 토대로 보았을 때에 충분히 우울증을 의심해볼만한 증상들입니다. 다만 말씀하시는 내용만으로는 우울증을 진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 및 정확한 상태 평가를 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우울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트레스 같은 환경적 요인, 뇌의 세로토닌 감소와 같은 유전적 요인이 있는데 과거에는 나누어 보는 경향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후생유전학 연구 발전으로 유전자 발현에 환경이 미치는 영향이 규명되면서 통합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즉 우울즈에 취약한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좋은 환경이라면

    유전자의 발현을 막을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있을수 있는 것입니다.

    일단 우울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우울감, 무기력감, 불안, 흥미의 저하, 식요장애(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대식증, 폭식장애 등), 수면장애(불면증 혹은 과수면증), 자살에 대한 생각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그 외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집중력 저하, 심각한 체중 변화, 만성 피로감, 두통, 소화불량 등을 겪기도 합니다.

    치료법은 약물치료와 심리치료가 있습니다.

    약물치료: 약물에는 항우울제, 항불안제, 갑상선 호르몬제제, 기분 안정제,

    조현병 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관여 하며,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항우울제입니다.

    심리치료: 정신치료에는 인지체계 교정을 위한 “인지치료” , 대인관계 기술을

    위한 대인관계치료 반복되는 패턴의 갈등양상 이면에 숨은 무의식(잠재의식)의 문제를 분석하는 정신역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하는 것만으로 현재 우울증이다 라고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해당 증상이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혹은 상담 등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증상만 보면 우울증이 맞습니다. 상담도 약물 치료도 필요한 상태라고 생각되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진료비나 치료비가 그렇게 비싸지는 않으니 걱정하지 마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