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22.12.18

호흡시 폐 허파 아가미 피부외 다른 기관이나 방법으로 호흡하는 동물이 있나요

동물들은 보통 코와 폐로 호흡을 하고 물고기는 아가미로 호흡하고 피부 호흡을 하는 동물들도 있는데요

기타 이 외에 다른 방법으로 호흡하는 생물이 있다고 하면

어떤 방법으로 호흡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가미를 사용하여 물 속에서 기체를 교환하는 외호흡. 호흡매질인 물은 항상 아가미의 표면을 흐른다. 이때 호흡매질이 흐르는 방향은 아가미 2차새엽(secondary lamella)의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흐름과 반대이다. 이것을 역류증폭의 원리라고 한다. 따라서 2차새엽을 흐르는 혈액과 물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산소분압의 경사가 유지되고, 혈액은 물에 의해 항상 효과적인 산소포화가 이루어진다.


    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세포에게 공급하고, 세포가 버리는 이산화 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일을 해요. 숨을 들이마셔 폐로 들어온 공기는 폐 속에 나뭇가지처럼 퍼져 있는 ‘세기관지’를 통과해 그 끝에 달린 ‘폐포’에 도달해요. 폐포는 혈액 속 산소와 이산화 탄소를 교환하는 일을 하지요. 이처럼 폐를 통해 호흡하는 것을 ‘폐호흡’이라고 해요.

    폐포는 포도송이처럼 생겼는데, 폐포 하나의 지름은 100~200 ㎛(마이크로미터. 1 ㎛은 백만 분의 1 m) 정도랍니다. 폐에는 무려 3억 개 정도의 폐포가 달려 있는데, 이렇게 폐포가 많은 이유는 폐와 공기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예요. 폐포는 아주 가느다란 혈관인 ‘모세혈관’과 닿아 있어요. 모세혈관을 지나가던 ‘적혈구’는 폐포 곁을 지나면서 산소를 공급받는답니다. 적혈구는 혈관을 따라 몸속을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세포들에게 산소를 전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