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기발한종다리2
기발한종다리221.04.05

의료 입안이 마르고 쓰디쓴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잠잘때는 입을 벌이고 자는것 처럼 마를때가 있구요..

입을 벌이고 잤나 했는데 눈을 떠서 그대로인상태에서 보면 담물고 자고 있었어요.

낮에는 입이 쓰디쓴게 자주 있어요.. 갑자기 그러니 무슨 질병이 있나 무서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입을 다물고 자는데도 입이 마르고 쓴맛이 나서 걱정이시군요.

    침에는 자극성타액 비자극성타액이 있는데 잠 잘 때는 비자극성타액밖에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입안이 마르는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구강건조증에 의해 비자극성타액마저 줄어든다면 입안이 마르는 느낌이 더 할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으로 침분비가 줄어들면 깨어있을 때도 입안에서 쓴 맛이 날 수 있습니다.

    입안이 마르는 느낌이 심하다면 침분비를 증가시키는 약을 처방받아서 드실 수 있고 무설탕 껌이나 레몬사탕을 먹어서 침분비를 늘려볼 수 있고 인공타액을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입이 마르는 증상을 구강건조증이라 합니다.

    구강건조증의 원인은 다양하여 아래와 같습니다.

    실제로 침의 분비량의 적어지는 경우, 비염 등의 원인으로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 다양한 약물 복용, 영양소 결핍, 노화, 당뇨 등의 전신질환, 쇼그렌증후군, 정신질환, 항암제 투여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정확한 감별을 위해 치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침의 분비를 자극하는 껌이나 신 음식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뜨껍고 건조한 환경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술과 담배도 구강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셔야 합니다.

    검사를 통해 실제로 침의 분비량이 적어진 경우라면, 인공타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입이 마르고 쓰다면 입안의 문제도 생각해 봐야 합니다만, 간혹 소화불량, 속쓰림이 동반되는 역류성 식도염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증상이 같이 있다면 가까운 이비인후과나 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