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 발달이 더디거나 부진한 아이들을 위해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까요?
아이가 다른 친구와 지내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다른 친구들과 상호작용 하는 것을 어려워할때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활동이나 지원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회성 발달이 부진한 아동을 지원하려면, 역할 놀이와 그룹 활동을 통해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해야 줘야 합니다. 또한 사회적 기술에 대해 자세하게 모형화해주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칭찬과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사회성 발달이 더딘 이유는
아이의 기질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먼저 이겠습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극적이고, 소심하고, 부끄러움이 많고, 조용하고, 낯가림이 심하다면 다른 이들과 소통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도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친구에게 다가가는 방법, 상황에 맞는 행동, 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하는 방법까지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사회성을 기르기 위해서 먼저 가정에서 다양한 놀이 활동과 대화하기, 말 주고받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친구와 놀면서 상호작용하는 경험이 사회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소규모 그룹 활동부터 시작하여 사회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해주세요
친구를 사귀는 방법이나 갈등 해결 방법을 집에서 역할 놀이를 통해서 꾸준히 알려주세요
아이가 친구랑 잘 어울리거나 긍정적인 행동을 했을 때
칭찬과 격려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그 행동을 반복할 확률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사회성발달이 더딘경우에는 부모님이 옆에서 부지런해져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을 보면서 자라납니다. 따라서 우리 아이들이 보고 배울 수 있도록 최대한 긍정적이고 배려심 많은 말과 행동을 해주시는게 좋겄습니다. 그리고 우리아이의 발달이 조금 늦는다 싶으면 병원진료를 받아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사회성 발달이 더디거나 부진한 아이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도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단 자녀가 친구들과 함께 놀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과의 소통 및 상호작용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박물관, 미술관, 체육센터 등 다양한 장소에서 여러 가지 체험활동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 형성뿐만 아니라 자신감도 높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자녀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이 먼저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자녀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상담사나 아동교육 전문가 등의 조언을 듣고 적절한 대처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위의 방법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의 관심사와 성향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관찰과 피드백을 통해 자녀의 성장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롤플레잉이나 협력 놀이를 통해 다른 사람과의 소통 방식을 익히게 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도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회성 발달이 더딘 아이들을 위해서는 우선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는 환경에서 작은 그룹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회성이 우려스럽기 때문에 고민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아이의 사회성을 조금 더 키워주고 싶으시다면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캠핑이나 여행 등을 많이 다녀보시고 그 여행지에서 만나는 다른 아이들과 어울려 놀 수 있는 기회를 주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지역 어린이 스포츠센터 같은 곳에 보내셔서 다른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경험을 하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