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6-3-3 학제 도입은 언제부터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한국 역사에 있어서 '6-3-3 학제'도입은 언제부터


이루어졌었나요?


그리고 그 당시에 시대적 배경은 어떠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로부터 광복을 맞이하여, 자유로운 학문과 교육이 가능해졌다. 미군정기의 일제의 식민 교육을 대신하여 미국식 민주주의와 6-3-3학제가 들어왔다. 그러나 피폐해진 한국 사회의 현실과 민족 교육 이념을 무시한 채 양적 확대에만 치중하여 미군정의 교육 정책은 한국인들과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교육의 자유화가 이루어지면서, 그에 따른 교육열이 높아져갔다. 특히 정부수립 이후 초등교육에 대한 의무교육이 시작되면서 교육 인구가 늘어갔고, 이를 바탕으로하여 1960년대 경제 성장의 밑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교육열은 사회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좋은 학벌을 가지기 위한 파행적인 학교 수업과 과외 열풍 등 특히 무즙 파동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1970년대 중학교, 고등학교의 무시험 선발 제도가 지역별로 확산되었으며, 1980년대 전반에는 신군부의 유화정책으로 과외금지가 시행되기도 하였다.

      1980년대 이후로 교육은 양적으로 더욱 확대되었는데, 고등교육이 확대되고, 이를 대중화하기 위한 통신대학이나 산업대학 등 다양한 형태의 대학들이 설립되었다.

      경제력이 높아지면서 사교육에 대한 투자는 급증하고 있는데, 공교육에 대한 투자는 이에 전혀 못 미치고, 사회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출처; 위키백과 대한민국의 역사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대 교육이 처음 시작되던 일제 강점기 1911년 「조선교육령」을 공포, 보통학교 3~4년, 고등보통학교 4년, 실업학교 2~3년, 전문학교 3~4년의 학제를 만들어 시민교육을 시작했숩니다. 독립국가로서 본격적 근대교육을 시작한 것은 해방 후의 일로, 미군정 하에서 발족한 교육심의회는 6-3-3-4제와 6-6-4제의 병용학제를 채택, 1946년부터 시행하다가

      해방 후 1951년 수립된 6-3-3-4 학제는 70여 년간 수정 보완을 통해 대한민국 기본 교육제도의 틀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3-3 학제는 한국의 교육제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초등학교 6년제, 중학교 3년제, 고등학교 3년제로 구성되는 학제입니다. 이 학제는 1968년에 도입되었습니다.

      6-3-3 학제 도입 당시의 시대적 배경은 대한민국이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고 국가 발전을 위해 교육의 질적 향상과 고등교육의 대중화를 추진하기 위해 교육제도 개편이 이루어진 시기입니다. 이전까지는 초등학교 6년제 이후에는 직업 교육 기관이나 민간 학교 등으로 진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6-3-3 학제 도입으로 고등학교 교육이 보편화되었고 대학 진학이 보다 일반화되었습니다. 이는 국가의 인력 양성과 사회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제도적 변화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8-4-4제는 1850년쯤부터 시작된 가장 오랜 제도. 그런데 초등교육 8년은 아동기와 청년전기가 같은 환경에서 교육을 받아야한다는 불합리 때문에 1910년쯤부터 초등교육을 6년으로 하는 6-3-3제가 등장, 오늘날 기간학제가 되고 있다.

      -출처: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