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츠영상 보다보니까 이제는 사랑해서 결혼이 아니라 조건이 1순위라는데
쇼츠영상 보다보니까 이제는 사랑해서 결혼이 아니라 조건이 1순위라는데
세계적으로 당연한 추세인건가요 아니면 한국의 고유한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쇼츠 영상에서 말하는 모두가 진실이 아니고 일반화 할 수 없습니다.
결혼이라는 것에 대해 과거부터 지금까지 순수한 마음으로 사랑하는 마음만으로 하는 사람도 있고, 현실적인 것을 고려하여 직업, 종교, 집안 등 제반 조건을 맞추어서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본다면 비율로 따지면 과거가 현재보다 더 조건을 맞추어 결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왜냐하면 자유연애가 제한되었고, 신분사회이다 보니 수준이 맞는 집안끼리 정략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자유연애를 하기 때문에 우선은 순수한 마음으로 만나 사랑하게 되었을 때 결혼을 생각하는 경우, 그러한 조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혼에 서로의 조건을 보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이유로 이혼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질문자께서 보신 쇼츠 영상에서 언급한 것처럼 사랑해서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이 1순위라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만의 추세라고 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돈으로 대표되는 대부분의 조건들이 이미 정신적인 부분의 사랑의 순수함을 넘어선 지가 오래 되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현실적인 이유로 조건에 맞추어서 편안한 삶을 살아가기 원하는 것이 현재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잘못되고 조작된 틱톡 등의 미디어 오용 사례라고 하겠습니다.
2024년 12월 초 루마니아의 헌법재판소는 EU의 디지탈관련법을 적용하여 (루마니아는 당당한 EU회원국입니다.) 틱톡에 의하여 대중 조작을 감행한 극우 대통령 후보에 대하여 그 당선의 무효를 선언한 바 있습니다.
유튜브나 틱톡은 아무런 규제나 검사없이 누구나 가짜뉴스나 조작된 정보를 올려도 그것은 그대로 업로드가 됩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취미생활이나 재미로 즐기는 미디어는 전혀 사회적 공신력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혼문화는 우리의 미래인 젊은이들의 건전한 교제 속에 훌륭히 상호존증 과정을 거쳐 잘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