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성왕의 마지막은 왜 비참할 수밖에 없었나요?
백제의 성왕의 경우 백제의 새로운 전성기를 달려간 왕이라 해도 이상하지 않은데
마지막은 신라의 노비출신 도도에게 참수당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그래도 한나라의 국왕인데
신라는 왜 노비출신의 손에 죽게끔 한 것인가요?
보통 한나라의 왕인 경우는 죽음앞에서도
일정부분의 예를 다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성왕은 어떤 이유로 마지막이 비참했던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 성왕(재명대왕)은 백제의 마지막 왕으로, 660년에 신라와 통일신라에 의해 파괴되면서 백제 왕조가 종식되었습니다. 그 비참한 결말은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설명됩니다:
외부적인 압박과 침략: 7세기 중반, 신라와 통일신라는 백제의 영토를 점차적으로 침략하고 압박하였습니다. 660년에는 신라와 통일신라가 공동으로 백제를 공격하여 그 수도인 부여성을 함락시켰습니다. 이에 백제 성왕은 결국 산악지대로 피신하게 되었습니다.
내부적 불화와 약화: 백제 왕조 내부에서도 다양한 정치적 불화와 갈등이 있었습니다. 성왕의 왕위에 대한 불만이나 반발, 민란 등으로 인해 왕조의 통일된 힘이 약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외부 침략에 대항할 강력한 대응이 어려워진 것으로 보입니다.
무력한 저항과 파국: 백제 성왕과 그의 추종자들은 신라와 통일신라의 침공에 대항하려 했으나, 결국 저항이 무력하게 무너지고 부여성이 함락되면서 백제는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외부적인 압박과 내부적인 불화, 무력한 저항으로 인해 백제 성왕의 마지막은 비참한 결말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신라와 통일신라는 통일을 이루고 한반도를 지배하게 되었으며, 백제의 역사는 종식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사기』에 보이는 도도(都刀)의 관등은 고간(高干)이었는데, 이는 외위에 속하는 관등입니다. 신라의 관등제는 왕경(王京)에 거주하는 왕경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위와 지방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외위로 이루어져 있는데 『삼국사기』 잡지에 따르면, 고간은 경위에 견주면 17관등 중 9관등인 급찬(級飡)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그 직책은 하급장교에 해당하는 비장(裨將)이었지요. 즉, 지금으로 따지면 군대의 소위나 중위급에 해당 하는 직책이기에 아주 낮은 직급은 아니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