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8.31

아르헨티나 경제는 무엇 때문에 호황을 누렸었던건지 궁금합니다.

아르헨티나가 1800~1900년대에 GDP 세계 10위권의 부자 국가 였다고 하는데요.

아르헨티나의 경제는 무엇 때문에 호황을 누렸었던 건가요?

부국이 어쩌다 지금과 같이 되었는지 안타깝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00년 이후부터는 그렇게 축적한 부를 바탕으로 문화와 사회가 크게 발전하여, 본격적으로 '남미의 프랑스'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은의 여왕', '남미의 파리' 등 화려한 명칭을 갖게 되었다. 철도와 기간사업이 건설되었고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지하철[8]을 건설하였다. 급진주의당이 정권을 잡고 운영한 10여 년 동안은 사회정치적 문제에도 크게 관심이 대두되어 모든 사람들에게 투표권을 보장하였고[9] 사회안전망에 대한 기초적 작업이 이루어졌다. 목축업과 농업은 물론 타 산업도 발달하기 시작해 1910년 무렵부터 1970년대까지는 세계 15대 경제 대국으로 늘 빠지지 않았고, 1910년대 아르헨티나의 1인당 GDP는 프랑스, 이탈리아보다 높은 세계 8위권으로 벨기에와 비슷했다. 이때의 아르헨티나는 명실상부한 선진국이었으며, 드레드노트급 전함을 구입하고 독립 초기 주변국인 브라질과 파라과이와의 전쟁에서 승전할 정도로 중남미에서는 강대국[10]이기도 했던 나라였다. '아르헨티나인처럼 부자이다.'라는 관용구가 프랑스에 생길 정도였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는 풍부한 농업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대량의 농산물 수출로 인한 수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대두, 곡물, 육류 등의 농산물은 국제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받아 호조를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아르헨티나는 외국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자유로운 경제 정책을 채택했습니다. 외국 투자로 인해 경제가 성장하고, 산업 부문이 발전하며,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또한 아르헨티나는 석유, 천연가스, 광물 등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원 부문의 성장은 경제에 큰 기여를 했으며, 수출 수익을 증가시켰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와 같은 경우에는 농축산업이 발달하여

    이러한 농축산업을 기반으로 상당한 부국이었으나

    포퓰리즘정책으로 경제가 망가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의 경우 과거에는 넓은 토지를 기반으로 하여서 철도와 기간산업이 크게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목축업과 농업을 기반으로 세계 15대 경제대국으로 이름을 올렸어요. 하지만 이러한 아르헨티나 경제가 무너지기 시작한건 타락한 정치와 1차산업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던 산업구조와 기간산업들의 국유화로 인한 경쟁력 약화등이 원인이 되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토의 크기가 세계8위 권으로 (278만제곱) 우리나라 평야들처럼

    대부분의 영토가 평야입니다 많은 작물을 수출한 농업중심국가 였죠

    군쿠데타와 무리한 상공업추진에 실패, 교육의 부재로 부정부패정치인만 투표하는 유권자들이

    나라를 망치는 거죠 국가는 국민의 거울입니다 대통령도 국민의 수준을 보여주는 거죠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사 아르핸티나는 넓은 땅을 바탕으로 1차산업이 매우 발달한 국가였습니다. 이를 통한 자본 축적이 이루어져 1880년 이후부터는 초기적인 산업화가 시작되었고, 해외 자본, 특히나 영국과 프랑스의 자본이 유입되어 최초로 근대적 공장이 세워지는 등 아르헨티나는 빠른 경제성장을 달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