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0.25

혈액형은 누가 발명을 하게 된 것인가요?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으나 사람의 피를 구분할 때 혈액형으로 구분을 하고 있잖아요 이런 혈액형은 누가 언제 어떻게 해서 발명을 하게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은 사실 발명이 아닌 발견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혈액형은 1900년대 오스트리아 출신 칼 란트슈타이너에 의해서 ABO 식의 형태로 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은 1900년대 초반에 카를 랜덴슈타이너라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카를 랜덴슈타이너는 혈액을 연구하면서 ABO 혈액형 시스템을 발견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인체의 혈액을 A형, B형, AB형, O형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되었습니다.

    카를 랜덴슈타이너는 혈액을 혼합할 때 발생하는 응집 반응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혈액형이 존재함을 밝혀냈습니다. 이후 그는 혈액형을 분류하기 위한 시약과 테스트를 개발하여 혈액형 시스템을 연구 및 확립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혈액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혈액형에 따른 수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분류한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의사 칼 란더스(Karl Landsteiner)"입니다.

    칼 란더스는 1900년대 초기에 혈액형을 연구하고 1901년에 혈액형을 A, B, AB, O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칼 란더스의 발견은 혈액 이식 및 혈액 질환의 이해와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의 연구는 혈액형 간의 호환성을 평가하고 잘못된 혈액 혼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혈액형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켰으며, 혈액형에 따른 혈액 이식 및 수혈을 안전하게 실시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칼 란더스의 혈액형 분류 시스템은 현재까지도 사용되며, ABO 혈액형 시스템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은 발명된것이 아닙니다. 발견된것입니다.

    수혈을 통한 의료행위가 시작되면서 이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본격적인 연구는 1628년도 부터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을 A, B, AB, O 형으로 구분하는걸 ABO 식 혈액형이라고 하는데 1901 년 오스트리아의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혈액형을 처음으로 구분한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의사인 카를 란트슈타이너입니다. 그는 1900년, 다른 사람의 혈액을 자신의 혈액과 혼합했을 때 응집이 일어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사람의 혈액에는 두 가지 주요 항원인 A 항원과 B 항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각 항원에 대한 항체가 없는 혈액을 O형으로, A 항원에 대한 항체만 있는 혈액을 A형으로, B 항원에 대한 항체만 있는 혈액을 B형으로, 두 가지 항원에 대한 항체가 모두 있는 혈액을 AB형으로 분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혈액형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한 사람은 칼 란트슈타이너(1868-1943)란 사람으로, 1901년 혈액형에 따라 서로 맞고 안 맞는 것이 있는 것을 알고 이를 ABO로 분류하였습니다. 덕분에 안전한 수혈이 가능하게 되고 이 업적으로 나중에 노벨상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