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별🌟
별🌟

치즈냥이는 왜 남자애가 더 많은가요?

치즈냥이들은 남자 성별이 더 많더라구요, 유전학적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저희 집 치즈냥이도 남자애애다 (고집이 좀센,,,)친구집도 남자고 인터넷에서도 그래서 물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양이에서 코트 색상은 X 염색체에 연결된 유전자에 의해 크게 조절됩니다. 주요 색상 중 하나인 오렌지 색상은 X 염색체 상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컷 고양이는 하나의 X염색체와 하나의 Y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암컷 고양이는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컷 고양이의 경우, 어미로부터 받은 유일한 X 염색체가 오렌지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면 그 고양이는 오렌지 색상을 띠게 됩니다. 암컷 고양이가 오렌지색을 띠려면 양쪽 부모 모두로부터 오렌지색 유전자를 물려받아야 합니다. 이는 두 개의 X 염색체 모두에 오렌지 색 유전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대적으로 덜 흔합니다. 이는 인간의 탈모 유전자의 발현과 유사합니다. 여성보다 남성에서 탈모가 많은 이유로 비유를 해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양이의 털 색깔은 '멜라닌 색소'에 의해서 결정되는데요, 고양이 털에는 2종류의 멜라닌 색소가 존재하는데, 이 색소의 양에 따라서 털의 색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유전자가 필요한데요, 고양이는 총 19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에서 19번째 염색체가 고양이의 성을 결정하는 성염색체입니다. 치즈냥이가 되기 위한 유전자는 X염색체 상에 존재하는데요, 암컷 치즈냥이가 되기 위해서는 엄마 고양이와 아빠 고양이 모두 치즈색을 나타내게 하는 유전자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즉 암컷 고양이의 경우 XX염색체 중 1개만 치즈색을 유발하는 유전자인 경우에는 치즈냥이가 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수컷 고양이의 경우 아빠로부터 자연스럽게 Y염색체를 물려받기 때문에 엄마로 부터 X염색체 하나만 치즈색 유전자를 가지면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치즈냥이는 수컷인 것입니다.

  • 고양이의 색을 발현하는 X염색체, 즉 성염색체 때문입니다.

    암컷 고양이는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반면, 수컷 고양이는 하나의 X 염색체와 하나의 Y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암컷 고양이의 X 염색체 중 하나는 무작위로 비활성화되어 하나의 활성 X 염색체만 남게 되는데, 이 비활성화 과정에서 '칼리코' 유전자가 있는 X 염색체가 비활성화될 가능성이 수컷 고양이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칼리코 유전자는 삼색털을 만드는 유전자이며, 이 유전자가 비활성화되면 흰색 또는 검은색 털만 나타나는 '양털' 모양이 됩니다.

    따라서 암컷 고양이의 경우 칼리코 유전자가 있는 X 염색체가 비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 흔히 말하는 양털 모양의 치즈냥이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고양이의 털색 유전자중 오렌지색(치즈), 검정색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성염색체 X에 존재합니다.

    한X염색체에 두개가 동시에 존재하지 않고 치즈색과 검정색 둘 중 하나가 존재합니다.

    흔히 삼색냥이는 대부분 암컷이라고 하는 이유도 암컷고양이는 XX의 성염색체 조합을 가지는데

    삼색냥이는 노란털 유전자가 있는 X와 검은털 유전자가 있는X가 한개씩 존재해서,

    각 세포들에서 둘중 한 색이 렌덤하게 발현되어 흰 바탕에 노란무늬와 검은무늬가 혼합되어 나타납니다.

    (흰색은 색을 내는 유전자를 억제하는 유전자가 발현된 부위)

    암컷에서 완전히 치즈색이나, 완전히 검정색이 나오려면 두 X염색체가 같은 털색유전자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수컷 고양이는 XY염색체 조합을 갖는데, 그래서 삼색은 나오기가 힘들며 치즈색 혹은 검정색의 무늬가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지고 있는 X염색체에 의해 색이 결정되므로 암컷고양이보다 치즈색이 나오기 쉽습니다.

    물론 이외에도 털색과 무늬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가 있고 이것이 고양이의 색과 패턴에 다양한 영향을 줍니다.

  • 치즈 태비 고양이(치즈냥이)에서 수컷이 더 많이 보이는 현상은 실제 통계적 사실이라기보다 인식의 차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전학적으로 수컷이 더 많이 태어나는 경향은 없으며, 일반적으로 고양이의 성비는 거의 1:1에 가깝습니다. 다만, 치즈 태비 무늬가 X염색체와 연관되어 있어 암컷에서 더 다양한 색상 변이가 나타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컷이 더 '전형적인' 치즈 태비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컷 고양이가 더 활동적이고 사교적인 경향이 있어 눈에 더 잘 띄는 것도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험과 관찰은 흥미로우나, 이는 개인적 경험이나 제한된 표본에 기반한 것일 수 있으므로 전체 치즈 태비 고양이 집단의 성비를 대표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삼색고양이 대부분이 암컷인 것은 들어봤지만 노란 치즈색 고양이가 대부분 수컷이란 말은 처음 들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