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심심한코끼리189
심심한코끼리18924.02.13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자산의 몇프로가 ♡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자산의 몇프로가 월드스탠다드인가요? 한국은 지나친정도로 많다고 하던데 비중이요

불패부동산이라서요 대출없이 자산 10억이면 얼마정도 부동산 거주집은 투자가 맞을까요?AHA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인선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한국은 예전부터 부를 축적하면 부동산 구입을 우선시 했기 때문에 부동산 불패라는 말이 나왔고 이 현상으로 인해 여전히 자산이 거의 부동산에 몰려서 형성 되어있습니다.

    대한민국 중년층의 자산 비율을 보면 70프로 이상이 부동산 자산이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제가 권장 드리는 건 50프로 미만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 부분은 평균이 있다고 해도 실제 크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주택가격과 자산비중에 따라 비율은 얼마든지 달라지기 떄문입니다. 그리고 투자금액 역시도 본인선택사항이고, 부동산도 불패라고 생각으로 안전자산이라 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위험자산에 더 가깝기에 부동산 시장이 불황일 경우 투자비중을 기존보다 낮추는게 맞습니다. 자산10억이라면 실거주가 아닌 투자목적이라면 레버리지를 통한 투자시 자산에 20~30%정도만 실투자로 맞추시는게 안전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없는 현금 10억의 자산을 가지고 있다면 매우 높은 자산을 가지고 있는것과 같습니다. 만약 부동산으로 본다면 20~30억원대의 부동산은 가질 수 있습니다. 물론 부동산을 매수할때에 주거를 할지 투자의 관점으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20억원대의 부동산은 충분히 가질 수 있습니다.


    보통 부동산은 자산의 50%혹은 70~80%도 충분히 존재하나 안정적이라면 50%정도 혹은 그 이하인 것이 좋습니다. 흔히 말하는 영끌일 경우 보통 80%이상이며 50%정도는 전세자금으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경우 부동산이 비싸다? 할 수 있지만 그렇게 비싼편은 아닙니다. 서울의 경우 일부지역의 일부 부동산은 매우 고가로 취급하고 있으나 최근 급등한 경우를 제외하면 높은 것은 아니었지만 그만큼 상승도 더딜 뿐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급등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매우 가파르게 올랐으며 재개발 재건축 이슈 등으로 향후 가치도 높은것들이 있기 때문에 싸다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자산의 비중이 국가마다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높고 금융시장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부동산의 비중이 낮고, 반대로 부동산 가격이 낮고 금융시장이 미발달한 국가에서는 부동산의 비중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금융자산 비중이 71.5%에 달하고 일본 (63.0%), 영국 (53.8%) 등도 50%를 넘습니다. 반면 한국은 부동산을 포함한 비금융자산 비중이 64.4%로 미국 (28.5%), 일본 (37.0%), 영국 (46.2%), 호주 (61.2%)보다 높습니다.

    부동산 투자의 적정 비중은 개인의 성향, 목표, 수익률, 위험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자산의 20~30% 정도를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주는 자산이지만, 유동성이 낮고 유지비가 들기 때문에 과도하게 투자하면 자산 운용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없이 자산 10억이면 2~3억 정도를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단,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과 개인의 재무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예를 들어 집값이 10억이면 대출은 50%이하인 5억원이하로 받는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