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개운한큰고래92
개운한큰고래9222.09.08

혈압이146이 지속적으로 나오는데 약을 먹어야나요?

나이
37
성별
여성

작년에 한번 쓰러진후로 혈압이 140이상이 지속되고있어요~

오늘은 또 재보니

혈압 146

저혈압93

맥박98

나오는데 혈압약을 먹어얄지 안먹어얄지 고민이

좀 됩니다 굳이 먹어얄까요?

먹으면 병원에서 끊으라 하기전까진

계속먹어얀다고도 해서..

먹으면 무슨 혈압약을 먹어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고혈압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보통 심혈관질환 가족력이 있을시, 고혈압의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또한, 평소 짜게 먹는 습관이 있거나, 운동량이 부족하거나 과로를 하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하는등의 생활습관에 의해서 고혈압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밖에도 질환 특히 당뇨, 신장질환 등이 있을경우, 교감신경기전과 레닌-안지오텐신기전등의 영향으로 고혈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고혈압이 오면 기상시에 뒷목덜미, 뒷머리 등이 아프거나 뻑적지근 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어지러움증이나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일단 항고혈압제를 처방받아 드셔야하는데

    혈관확장제, 이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등을 처방받게 되십니다. (보통 몇일 먹고 끝내는게 아니라 장기간 드셔야합니다.)

    규칙적인 운동도 필수적인데

    보통, 일주일에 3회정도, 30분이상의 운동량이 필요합니다. 무산소운동보다는 유산소운동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기름진음식, 짠음식을 줄이셔야하고, 섬유소를 많이 섭취하셔야합니다.

    스트레스 또한 고혈압의 주 원인이므로, 스트레스 조절(명상 등)을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혈압이 높은 경우 즉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혈관 합병증과 더불어 뇌경색, 심근경색등을 유발할 위험성이 높아 복용하시는 것이 권고됩니다. 일차적으로 칼슘 채널 차단제를 많이 사용하지만 환자마다 적응증이 다르므로 내원하시어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수축기혈압 및 이완기 혈압 모두 고혈압에 해당하는 정도이십니다. 약물을 복용하시어 혈압을 낮추고 관리하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방치하실 경우에는 각종 심장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약을 꼭 드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완기 혈압이 90mmhg 를 넘으면 고혈압이라고 판단합니다.

    현재 고혈압 상태로 추정되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병원에 내원하여 혈압을 측정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고혈압으로 진단이 된다면 개인의 선택이 아닌 여러 요인이 고려되어 고혈압약제를 처방받게 됩니다.

    순환기내과나 내과 방문하여 진료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네 140을 넘으면 혈압약을 먹는게 맞습니다.

    요즘은 더 조심해서 130부터 약을 먹자는 의사들의 의견도 많은 상태입니다.

    꼭 약 먹으시는게 맞겠고 calcium channel blocker 제제로 보통 시작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