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느긋한관수리207
느긋한관수리20724.04.01

연차유급휴가일수 산정방법에 대해 문의합니다.

출근율을 산정하는 기산일은 원칙적으로 개별 근로자의 입사일로 산정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에 직원이 많아서 그러지, 회계연도로 산정하더군요.

근로자 입장에서 유리한 조건인 것 같습니다. 회계연도 출근율을 산정하여 연차유급휴가일수를 주는 것은 근로기준법에 위배되는 사항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적어주신대로 연차휴가는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는게 원칙이지만 회사 노무관리의 편의를 위해

    회계기준(1.1)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회계기준으로 적용하더라도 근로자 퇴사시 입사일 기준으로 산정한 연차와

    비교하여 입사일 기준이 더 유리한 경우에는 입사일로 재정산을 해줘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회계연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주는 것은 위법은 아닙니다. 다만 근로자 퇴사시에는 입사일 기준이 더 유리하면 입사일 기준으로 재산정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취업규칙 등에 회계년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산정한다는 규정으로 둔 때는 입사일이 아닌 회계년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회계연도는 법상 원칙은 아니지만 관리의 편의상 인정해주는 개념입니다. 퇴사시 입사일 기준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운영한다면 가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