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지금
이지금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2

의사선생님들 중에 일반의 이신분도 있고, 전문의 이신분도 있으시던데 두분들의 차이점이 뭐가 있나요? 의대 졸업 > 일반의 > 전문의 루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시험을 통과하면 일반의가 됩니다 이후 인턴1년과 레지던트(과별로 3년에서 4년) 과정을거쳐 전문의 시험을 통과해야 전문의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것처럼 의대졸업하면서 의사면허증을 따면 일반의 입니다.

      인턴을 맞쳐도 일반의 입니다.

      전공의 과정인 레지던트를 마치고 각과에 맞는 자격증을 딴것이 전문의 입니다.

    • 의대 졸업하여, 의사 국가고시를 합격하면 일반의사 자격을 획득하고

      일반의사 자격을 획득한 이후

      인턴과정 (1년) -> 레지던트 과정 (3-4년)의 수련을 마친 후 , 전문의 시험에 통과해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는 상태면 일반의입니다. 전문의는 전문의 수련 병원에서 3-4년간의 전문의 과정을 마치고 해당 과에 대한 전문 자격을 인정 받은 의사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의대졸업 후 해당 과에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를 일반의라 부르며, 특정과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게 된다면 전문의 자격을 얻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의대 졸업 후 의사국가고시에 합격하여 의사면허증을 발급받으면 일반의가 됩니다.

      이후 대학병원에서 인턴, 전공의 과정을 수련하고 전문의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됩니다.

      질문에 답변이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