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사람은 왜 멀미를 하는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4

예전에는 진짜 차만타면 바로 멀미를 했습니다. 너무 힘들어서 목적지 갈때까지 창문을 열고 간기억이 있습니다. 찬바람을 쐬면서 가면 좀 괜찮았어요. 지금은 덜하지만 그래도 뒷자리에 앉아서 휴대폰보고있으면 멀미가 오더라고요.

왜 사람은 멀미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멀미는 주로 신체의 균형 감각을 담당하는 내이와 시각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즉, 몸은 움직이고 있는데 눈은 정지한 물체(예: 책, 휴대폰 등)를 보고 있을 때 뇌가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로 인해 멀미 증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멀미의 원인

    몸이 움직이고 있지만 눈은 정지한 물체를 보고 있어, 뇌에서 혼란이 생깁니다.

    내이는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곳의 신호와 다른 감각 정보가 충돌할 때 멀미가 발생합니다.

    심리적인 요인도 멀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멀미 완화 방법

    차창 밖의 먼 곳을 바라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창문을 열고 신선한 공기를 쐬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멀미 예방약을 복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멀미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멀미는 내이의 평형기관과 눈이 인식하는 움직임 간의 불일치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차에 타고 뒷자리에 앉아 휴대폰을 보면 눈은 정지 상태를 감지하는 반면, 내이는 차량의 움직임을 느끼게 되는데, 이 둘의 정보가 충돌하면서 멀미가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배병제 의사입니다.

    멀미는 우리 뇌가 여러 감각기관에서 들어오는 정보의 불일치를 인식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귀에는 전정기관이라는 몸의 균형,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관이 있습니다. 차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가속, 감속하는 시점이 아니라면 이 전정기관은 몸이 가만히 있는 것 같다 느낍니다. 하지만 눈은 빠르게 움직이는 주변을 인식하여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이 두가지 감각이 뇌로 전달되면 혼란을 겪게 되고 이를 이상 신호로 해석하여 멀미와 관련된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물론 사람마다 민감한 정도가 달라서 멀미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멀미는 일반적으로 몸의 균형 감각과 시각 정보가 어긋날 때 발생하는데요, 특히 차를 탈 때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우리의 몸은 내이, 눈, 그리고 몸의 다른 감각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러나 차 안에서 눈으로 보이는 정보와 내이에서 감지하는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을 때 뇌가 혼란스러워져 멀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경우, 창문을 열어 찬바람을 쐬면서 약간의 안정을 찾았던 것은 신선한 공기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차의 뒷자리에 앉아 휴대폰을 볼 때 멀미가 발생하는 것도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 경우에도 눈의 초점이 고정된 화면과 주변 환경의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아 멀미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멀미를 줄이기 위해서는 차에서는 가급적 정면을 보고, 눈을 감거나 선명한 외부의 풍경을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