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많이 안사주는데 괜찮을까요?

와이프와 저는 생각이 비슷합니다.

어릴때 박카스병으로도 놀았거든요

오히려 상상력을 발휘해서 놀았던거 같아요.

요즘 장난감이 워낙에 잘나와서 사주는 부모님들이 많은데

오히려 애들이 금방 질려하더라구요.

그래서 저희는 최대한 안사주는데 잘못된 일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어지현 육아전문가
      어지현 육아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알고계신 것처럼 형태가 완전한 장난감은 상상력을 저해시키고 아이들도 금방 질려하기에 많이 사주시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대신 영유아기 때 아이들은 특히나 자연물을 많이 접하는 것이 정서 발달에도 좋기에 자연에서의 놀이 기회를 많이 제공해 주세요.

      가정에서는 재활용품으로도 충분히 훌륭한 놀이를 할 수 있지만 오래 갖고 놀 수 없고 위험할 수도 있기에 가끔은 블록이나 레고같은 장난감을 제공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블록이나 레고는 언제든 부수고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아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좋은 놀잇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금방 크기 때문에 옷이나 장난감 등은

      물려 받을 수 있으면 물려 받는게 경제적, 환경적으로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이가 꼭 가지고 싶어하는 장난감이 있다면 아이를 위해서 사주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요즘 같은 경우에는 육아종합지원센터나 여성센터 등에서 장난감을 대여해주기도 하니

      그런 것을 이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 장난감은 환경에도 좋지않고 빨리 지겨워 하기 때문에 너무 자주 사 주는 것 보다 아이와 약속을 하여 장난감 사는 것을 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못된 일이 아닙니다. 오히려 집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해서 놀이를 하는게 질문자님의 이야기처럼 상상력을 발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너무 가지고 싶어하는 장난감을 간헐적으로 사주시고 지금처럼 생활속 물품을 이용해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대로 정형화된 장난감 보다는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것들이 더 좋을 것 같아요.

      아이가 만들어보면서 어떤 완성품이 되어가는 지 아이의 상상력에도 도움이 되며,

      성취감도 생길 수 있으면, 손근육을 많이 쓰므로, 아이의 두뇌 발달에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의 교육방식에 대해서 이렇다, 저렇다 라고 말하기는 그렇습니다.

      각자의 가치관과 그에 따른 방침이 있기 때문이죠.

      허나 아이의 창의성을 키워줄려면 다양한 교구를 탐색해 보는 시간을 주는 것도 좋습니다.

      제 말에 뜻은 교구를 무조건적으로 구비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판단은 오로지 부모님의 몫이니깐요.

      다양한 놀잇감이 많은 키즈카폐에서 놀이를 경험해 보게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사준다고 해서 나쁜것은 아닙니다

      허나 너무 과할정도로 사주지 않는다면 아이는 소유에 대한 불만이나 불만족등이 생겨서 집착하는 경향도 보일수있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