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냉철한콰가237
냉철한콰가23722.02.09

반찬안먹는아이 좋은방법없나요?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국이랑,밥 이렇게만 먹고 반찬을 안먹습니다

어떻게하면 반찬을 잘먹을수있을까요?

아이들이 잘먹는반찬도 알려주세요

좋은레시피 많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찬을 다른 방법으로 요리를 해서 주면 잘 먹을 것 같습니다.

    야채를 싫어하면 야채를 많이 다져서 볶음밥안에 넣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는 김밥도 자주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반찬을 잘 먹지 않는다면 음식에 대한 흥미나 관심을 우선 올려 주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와 함께 요리활동을 해보세요 김밥, 유부초밥, 비빔밥, 만두, 수제비 등등 그리고 반찬을 먹일 때 엄마가 조급한 마음으로 음식을 권하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때로는 기다려주는 여유도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반찬을 안 먹어서 고민 이신군요.

    아이의 식판을 바꿔 보는 건 어떨까요?

    아이가 좋아하는 색상과 모양의 식판에 음식을 알록달록하게 담아주면 의외로 아이가 바뀐 식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음식에 관심을 갖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지만 유치원 다닐 나이가 되면 친구들 먹는 모습에 자연스럽게 편식이 나아지기도 하니 너무 염려 마세요~

    아이와 함께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음식 책을 읽어주면서 비슷한 음식을 요리해서 읽었던 책 속의 주인공을 언급하며 ㅇㅇ는 당근을 잘 먹던데 우리 ㅇㅇ도 한번 먹어 볼까? 어떤 맛인지 궁금하자나 이렇게 오이, 양파, 시금치 등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들을 한 두가지씩 늘려 나가보는 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아이와 식사 준비를 함께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우리 ㅇㅇ랑 저녁에 먹을 반찬을 만들어 볼꺼야 저녁밥 먹을 때 맛있게 먹자'

    이렇게 미리 아이에게 식사 시간을 알리는 거지요

    아이가 음식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실제 식재료를 손질 한다던지 예를 들어 콩나물 다듬기, 과일 씻기, 등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재료들을 함께 손질해보세요

    그리고 반죽을 뭉치는 과정 등을 함께 해보는 것도 아이에겐 놀이로 인식이 되면서 음식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장기에 골고루 영양소를 섭취해야하기때문에 좋아하는 음식만 주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싫어하는 음식만 주면 아이가 밥을 먹지 않기때문에 야채등은 잘게 잘라서 아이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요리해주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하는 건 어떨까요. 김은 엄마가 봉지를 잘라서 주면 아이가 접시에 담는 다거나, 계란 후라이할때는 아이가 접시에 계란을 깨면 엄마가 후라이팬에 얹어서 후라이를 하구요. 장조림은 아이가 고기를 찢는 다거나, 찢어져 있다면 수저를 이용해서 접시에 담아 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억지로 먹이려고하면 먹는 행위 자체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어 나중에 더 안 먹을 수 있어요

    제가 사용했던 방법중 먼저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그려진 식기류로 바꿔주었고 스스로 먹도록 유도했어요.

    주먹밥 같은 걸 만들어서 한 입에 쏙 먹게 도와주면서 주먹밥도 아기자기하게 만들었던 것 같아요

    어렵게 생각마시고 김이나 치즈 깨 등등을 이용하여 반찬이나 음식물을 캐릭터 형상화하여

    꾸며서 먹이면 재미있어하면서 아주 잘먹는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식사에 흥미가 없는 경우 또는 질긴 음식을 싫어하는 경우, 씹는 것을 귀찮아 하는 등의 경우 국에 밥을 말아 후루룩 먹고 식사를 빨리 끝내고 싶어하기도 합니다.

    우선 한그릇 음식에 영양이 충분하다면 반찬이 크게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루 한 끼 정도는 한그릇 음식(잔치국수, 볶음밥, 스파게티, 국밥 등)을 준비해서 편하게 먹게 하시고, 식단에 변화를 주시면서 먹는 즐거움을 알아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식사와 식사 사이에 군것질은 하지 않거나 조금만 하게 하여 식사에서 다양한 음식을 먹으며 배를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식기에 음식을 담아주시고, 보기에도 귀엽고 먹음직스럽게 보이는 반찬을 준비하시어 아이들 숟가락에 올려주시면 아이들이 더 잘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골고루 먹을 경우 원하는 디저트를 먹게 해주는 등의 보상도 아이들의 식사 의욕을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의외로 맨밥만 먹는 아이들이 의외로 많습니다.(사실 어른들은 이해를 못합니다)

    이유식에서 유아기로 넘어가면서 아이들은 이유식의 주재료인 쌀맛이 익숙해서 밥을 좋아합니다.

    아이가 밥과 반찬을 같이 먹기까지는 적응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속재료를 이용해서 주먹밥을 만들어서 먹여봐주세요. 아이가 여러가지 맛을 경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잘 해결되시길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