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주귀여운미냥
아주귀여운미냥

회합 주기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천체를 공부하던 중 회합 주기라는 것을 보았는데요, 말이 어려워서 유추가 힘들더라구요. 회합 주기의 정의를 쉽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회합 주기는 특정 천체들이 서로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일어나는 주기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보통은 지구, 태양, 그리고 다른 행성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주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구와 다른 행성들이 공전을 하면서 서로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 때문에 어떤 행성이 다시 같은 위치에 도달하는 주기를 회합 주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회합 주기는 지구에서 볼 때, 다른 행성들의 운동상태와 함께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천문학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경우, 태양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구가 한 바퀴를 돌아 처음 위치로 돌아오는 데에는 약 365일이 걸립니다. 이때 365일을 지구의 일년 혹은 지구의 태양 공전 주기라고 하며, 이는 지구의 회합 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과학 회합 주기는 국제지구과학연합(ICSU)과 세계기상기구(WMO)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제과학회의(ICSU-WMO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ICSU-WMO)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4년 주기로 개최됩니다. 1930년에 처음 개최된 이후로, 현재는 지구과학 및 지구환경에 대한 국제적인 과학적 발전과 지구과학의 발전 방향과 정책, 연구 과제 등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주요한 국제회의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국제지구과학연합(ICSU)과 세계기상기구(WMO)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제과학회의(ICSU-WMO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ICSU-WMO)는 2018년 이후 국제과학협의체(ISC)로 대체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과학회의 주기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회합 주기(Orbital Period)란 천체가 태양 또는 다른 중심 천체 주위를 한 바퀴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천문학에서는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들의 회합 주기를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합 주기는 천체의 공전 궤도 크기와 형태, 중심 천체의 질량, 그리고 뉴턴의 운동 법칙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인공위성의 경우, 인공위성의 고도와 타원형 궤도 등에 따라 회합 주기가 결정됩니다.

      태양계 내의 다양한 천체들의 회합 주기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와 지구의 공전 주기를 이용하여 태양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양계 외부의 외곽 행성이나 외곽 천체들의 회합 주기를 이용하여 그 천체들의 궤도 크기와 질량을 추정하는 등 천문학적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회합주기는 내행성이 내합이나 외합에서 다음 내합이나 외합으로 돌아오거나, 외행성이 충이나 합에서 다음 충이나 합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뜻합니다.

      간단하게... '태양 - 금성 - 지구' 이렇게 일직선이 되었다가 다음 '태양 - 금성 - 지구'의 일직선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뜻합니다.

      또는 '금성 - 태양 - 지구'에서 다음 '금성 - 태양 - 지구'을 뜻하죠.

      외행성도 마찬가지입니다. '태양 - 지구 - 목성'이거나 '목성 - 태양 - 지구'에서 다음 똑같은 일직선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지극히 관찰자 중심의 시간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략하게 회합주기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지구와 태양을 일직선으로 정렬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전주기는 실제 한바퀴돌때 걸린시간입니다. 하지만 지구에서는 공전주기를 측정할수없어요..

      달을 예로 들어보면 달이 지구 둘레를 한바퀴 돈다고 가정했을때 실제 지구가 멈춰있다면 달이 한바퀴 도는것이 맞지만 그사이 지구도 태양둘레를 공전 하기 때문에 실제 한바퀴보다 조금더 돌아가야지만 한바퀴 돌아간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즉 지구 관측기준으로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 까지가 회합주기인 것이죠...계산 하는 공식은

      내행성과 외행성의 회합주기가 다르지만 외행성을 예를 든다면...

      1/S = 1/E - 1/P

      (S : 회합주기 , E: 지구공전주기, P:행성의 공전주기)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회합 주기는 한 천체의 관측 시기를 기준으로 다른 천체와 다시 만나는 주기를 말합니다. 보통 행성이나 위성의 경우, 지구를 기준으로 관측하므로, 행성이나 위성이 다시 같은 위치에 오는 주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지구와 금성의 회합 주기는 약 1.6년에서 1.8년 정도이며, 이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시기와 금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시기가 서로 조합되어 나타나는 주기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