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럭체인으로 은행간 송금시 문제점은 없나요?
지금 송금하면 은행에서는 실제 돈으로 송금이 되고있는데 현재 리플이라는 코인 관련해서 은행간 송금 시스템, 결제시스템등 얘기가 많이나오고 있습니다. 이 말은 리플이라는 코인을 사용한다는 이야기인지 리플을 만든회사의 기술력을 빌린다는건지 정확히 어떻게 발전을하고 전망이 있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
또한 은행간 송금시 은행내부에서 발생되는 예상문제점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리플넷이 제공하는 송금 솔루션에는 크게 xCurrent와 xRapid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리플사가 xCurrent와 xVia는 RippleNet이라는 이름으로 통합시키고, xRapid의 경우 ODL(On-demand Liquidity)이라는 이름으로 리브랜딩하여 서비스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선 RippleNet(구 xCurrent)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리플넷의 경우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플넷을 도입하려는 은행이나 금융 기관의 기존 원장에 연결하여 송금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으로 송신 은행이 송금 트랜젝션을 발생시키면 이것이 수신 은행에 도착하게 되고, 이 트렌젝션이 적합한지를 검증 한 후, 중간 은행에 보관된 '송신 은행 명의의 중간은행 계좌'에서 수신 은행으로 자금이 최종적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송금을 하게 됩니다.
이때 각 은행의 원장과 RippleNet(구 xCurrent)의 원장(Ledger)이 ILP(Inter Ledger Protocol)를 통해 통신하며 리플넷 기반의 송금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RippleNet은 은행의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이 높고 다양한 화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반면, ODL(구 xRapid)은 리플 코인(XRP)만을 사용해서 송금하므로 송신자와 수신자 그리고 리플넷만 있으면 몇 초 안에 빠르게 전송이 가능합니다. 속도나 편리성, 안정성이 뛰어나고 금융 및 송금 거래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ODL은 RippleNet 서비스와 달리 XRP(리플)코인만을 사용하여 송금해야 하며 기존의 해외 송금 시스템과 달리 중간 은행이나 노스트로 계좌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만큼 기존의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부족하여 해외 송금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들이 주로 ODL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어 지금까지는 그 사용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RippleNet은 기존의 송금 방식,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측면이 있고 반드시 리플 코인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파트너사들이 실제로 이용을 하고 있거나 테스트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ODL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송금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다소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끝으로 은행 간 송금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비교적 소수의 신뢰할 수 있는 노드로 구성된 리플넷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와 리플의 솔루션을 은행이 도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클 경우 실제적으로 은행의 고객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리플의 경우 아직까지 네트워크에 큰 문제가 발생한 적이 없고 솔루션 도입 비용의 경우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이 경쟁하게 되면서 낮아지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