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1

아이들이 공공장소에서 울면서 떼쓰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들이 가끔 공공장소에서 울면서 떼를 쓸 때가 있잖아요?

이런 상황이 오면, 화도 나지만 너무 난처할 때가 많습니다...

어떻게 아이들을 달래줘야 효과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어지현 육아전문가blue-check
    어지현 육아전문가23.01.31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울 때마다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서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신다면 아이의 떼쓰는 행동을 강화하시게 됩니다. 아이는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킨 경험으로 원하는 것이 있을 때마다 떼를 쓸 것이고 원하는대로 되지 않는다면 점점 떼를 심하게 쓰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떼를 쓴다고해서 아이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해주셔야 합니다.

    우선 사람이 없는 곳으로 안고 데려가신 뒤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진정되면 얘기하자고 말해주시면서 아이의 떼가 잦아들 때까지 기다리세요.

    아이가 더 큰 떼를 써도 동요하지 마시고 아이가 스스로 진정해서 이야기를 할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그리고 진정이 되면 아이에게 원하는 것을 다 가지거나 원하는대로 행동할 수는 없다는 것을 단호하지만 감정적이지는 않은 어조로 차분히 말씀해주세요.

    그리고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는 시끄럽게 울어서는 안되니 원하는게 있으면 말로 해야한다고 알려주세요.

    아이도 이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단순히 떼를 쓴다고 다 들어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어렵겠지만 한 번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에는 여러 사람들이 오고 가는 장소이기 때문에

    일단은 달래 줘야 할 것 같습니다.

    미리 밖에 외출하기 전에 아이와 공공장소에 지켜야 할 약속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거나, 관련 동화책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나 밖에서 떼를 쓸 때 부모님께서 당황하시면 아이가 그 모습을 보고 반복적으로 할 수 있어요

    조금 난감하시지만 아이의 모습을 무관심으로 기다려 주시면서 아이를 자극을 덜 줘야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공공장소에서 울고 떼를 쓰는 상황에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공공장소에서 울고 떼를 쓰는 상황에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공ㄷ장소에서 떼쓰는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