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모래위에 집을 지으면 가볍게 허물어진다는 사상누각이란 사자성어는 어떻게 해서 만들어지게 되었나요?

노력없이 지어진 집이나 결과는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다는 조언을 남기는 사자성어 사상누각이라는 말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져서 사용이 된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사자성어로는 드물게도 어원이 서양 관용구입니다

    '모래 위의 집(house on sand)'을 한자어를 사용하여 의역한 것으로

    신약 마테복음 7장 21-27절의 내용입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시길 어리석은 자는 모래위에 집을 세우지만

    슬기로운 자라면 반석위에 지은 집에서 산다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沙上樓閣 - 즉 모래 위의 집이 되겠습니다. 이는 성서에 나오는 반석위의 집...이라는 개념과 반대라는 것이겠으며,

    많은 영어의 구문 단어들이 소위 개화기, 즉 180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기/전반기까지.. 서양의 동양에 대한 침탈과 더불어 문화자체도 많이 유입된바, 대표적인 예로 낭만..이라는 우리가 굉장히 한자어로서 대표적으로 인식하는 단어가 사실은 영어의 Romance에서 번역이 된 언어라고 하겠습니다..

    : 당시에, 우리나라는 말할것도 없고 일본, 중국도 서양세력의 앞선 기술에 기반한 무력으로 인하여 많은 정치적 수세에 몰렸으며, (중국같은 경우 아편전쟁 등 직접적으로 무력충돌을 겪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일본의 Fukuzawa Yukichi와 같은 일부 선구자적 지성인들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하여 서양으로 문물탐방을 떠나며 이를 저술로도 남겼습니다. 학문의 권유/권장... 과 같은 명저술들은 한번쯤은 꼭 읽어보며 이러한 당시의 컬쳐쇼크, 정치적/국가적 위기감을 느낀 동양의 인물들에 대한 입장을 한번쯤 잘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즉, 이러한 후쿠자와 유키치 등 서양문물에 대한 경계와 충격에 더불어 이를 탐방하려고 하며, 여러가지 기술과 함께 문학/인문학 등에 대한 광범위한 유입과 연구의 결과로 많은 서양의 표현들이 한자화되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사상누각이라는 말의 뜻은 잘 알고 계시니 그 말의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상누각이라는 말의 유래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신약성경 마태복음 7장 23절-27절의 내용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해당하는 본문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그러므로 지금 내가 한 말을 듣고 그대로 실행하는 사람은 반석 위에 집을 짓는 슬기로운 사람과 같다. 비가 내려 큰물이 밀려오고 또 바람이 불어 들이쳐도 그 집은 반석 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무너지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 내가 한 말을 듣고도 실행하지 않는 사람은 모래 위에 집을 짓는 어리석은 사람과 같다. 비가 내려 큰물이 밀려오고 또 바람이 불어 들이치면 그 집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말 것이다."

    마태복음의 이 구절에서 유래한 말로, 영어 표현인 "house upon the sand"를 그대로 한저어로 옮겨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