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4.04.14

삼성전자가 국제적인 기업이 된 계기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 삼성전자가 망하면 우리나라가 망할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던데요 삼성전자가 국제적인 기업이 된 계기는 어떤것인지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성은 "품질 경영 "을 강조하며 제품 품질 향상에 힘쓰고, 해외 시장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삼성전자는 반도체 분야에서 꾸준히 기술력을 강화하며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국제적인 기업이 된 이유는 스마트폰 사업을 시작하고부터라 할 수 있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은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재계 상위권에 속하는 대한민국 내 여러 대기업 중 하나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1997년 불어 닥친 경제위기를 계기로 삼성은 광범위한 구조조정을 통해 대한민국 내에서 재계서열 1위의 대기업으로 자리를 굳히게 됩니다. 이는 당시 경제위기로 대한민국 내 30대 대규모 기업집단 중 16곳이 부도를 맞아 해체된 것과 대비됩니다. 이후 애플의 아이폰을 필두로 스마트폰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대되자 삼성전자는 소위 패스트 팔로워 전략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1980년대~1990년대만 하더라도 삼성전자의 목표는 경쟁사인 일본 기업을 따라잡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2010년 삼성의 세계 점유율은 평면 TV와 반도체 메모리에서 1위를 차지하며 모두 일본 업체들을 앞서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은 2007년에는 휴대폰 부문에서 모토로라를 누르고 세계 2위의 핸드폰 제조업체에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 새 성장동력을 모색해오던 삼성은 2010년 12월에 메디슨을 인수함으로써 헬스케어사업부문에도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성 전자가 굴지의 기업이 된 배경에는 과감한 투자가 있었습니다. 선진업체들이 반도체 경기 불황으로 인해 대규모 설비투자를 망설일 때도 삼성전자는 과감하고 신속한 투자 의사 결정을 함으로써 선진업체를 따라잡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전문경영자에 의해 운영되었던 선진기업들에서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설비투자 의사 결정을 내리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합니다. 내부 구성원들이 합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반도체 경기가 불황일 때에는 대규모 투자 자체를 망설이게 된다고 합니다. 삼성전자에서는 반도체 사업 때문에 삼성그룹이 망할 수 있다는 심각한 우려가 그룹 외부는 물론 내부에서도 제기되는 상황에서도 소유경영자가 자신이 책임질 테니 투자하자는 결단을 내림으로써 선진 업체들을 따라잡을 수 있었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