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9.19

시장의 가격이 항상 자유롭게 움직이지만은 않는다고도 하는데, 어떤 경우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보통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이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하지만, 시장의 가격이 항상 자유롭게 움직이지만은 않는다고도 하는데,

어떤 경우에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시장에서 독과점 기업 등이 있고

    수요 등이 몰리는 경우에도 시장의 가격이 항상

    자유롭게 결정된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 가격형성이 자유롭지 않은 이유에는 정부의 개입이 발생하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서 정부의 가격상한제도와 같은 것들이 이러한 외부 개입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 가격은 원래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결정 되지만 예외적으로는 자연 재해에 의한 소비나 수요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정부의 간섭 혹은 규제도 시장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됩니다. 가령, 정부의 부동산 규제 법 등을 발표하면 부동산 시장이 갑작 스럽게 멈추고 집값이 급락 혹은 급등 하는 것과 같은 경우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정해집니다.

    다만, 시장의 가격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는 점이 있는데 이는 이는 완전비탄력적인 경우에 그렇습니다.

    완전 비탄력적 수요란 가격이 변화하더라도 수요량에 변화가 전혀 없는 즉, 가격탄력성이 0이 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화와 서비스 중 가격이 공급이나 수요에 따라 빠르게 변하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완전경쟁경제 하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균형 가격이 이동하고 수요 또는 공급의 변화에 따라서도 균형 가격이 신속하게 이동합니다.

    그러나 필수재이나 공공재의 경우 가격이 쉽게 변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중교통 요금이나 인프라 관련 비용입니다. 주요 정부 공공기업이나 공공성을 가진 재화와 서비스 섹터에서 많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