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영암 동굴이 형성되는 단계별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용암 동굴이 형성되는 단계별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지형 및 생성물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먼저 화산에서 뜨거운 용암이 흘러나오는데, 이 용암의 표면이 바깥 공기와 만나 빠르게 식어 단단한 껍질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이 껍질 안으로는 여전히 뜨거운 액체 상태의 용암이 계속 흘러가지요.

    마치 수도관처럼 튜브 형태의 통로 안으로 용암이 이동하는 거예요. 시간이 지나 용암 분출이 멈추거나 양이 줄어들면, 튜브 안에 있던 용암이 모두 하류 쪽으로 빠져나가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겉껍질만 단단하게 남고 안은 텅 비게 되는데, 이 비어 있는 공간이 바로 용암 동굴이 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용암 동굴이 형성되는 단계별 과정은 와산이 분출할때 용암이 흘러가면서 지표면 아래에 동굴을 만들게 되는데 화산분출->표면냉각->용암의 흐름->용암 흐름의 종료 후 빈공간 생성->동굴안정화 단계를 거치면서 용암동굴이 만들어 집니다. 즉, 화산 분출 후 표면의 용암이 먼저 식고 내부의 뜨거운 용암이 흘러가면서 용암동굴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화산분출의 특징적인 지형 및 생성물은 용암류(지표면에 흐르는 용암의 이동 흔적), 용암대지(용암이 넓게 퍼져 평탄한 대지 형태인 지역) 입니다.

    표면냉각의 특징적인 지형 및 생성물은 용암 튜브의 외피(단단한 껍질 형성으로 외부 구조 만듦), 가스배출구멍(용암이 식으면서 가스가 빠져나오며 작은 구멍)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