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글로벌 복합운송 체계를 무역 물류에 도입할 때 검토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복합운송 방식을 도입하려는데 운송 주체와 책임 분담에 대한 혼란이 있습니다. 무역 실무에서 글로벌 복합운송 체계를 활용하기 위해 어떤 계약 구조와 문서가 필요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글로벌 복합운송 체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계약구조 상 복합운송인과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운송 책임 체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또한 이에 따른 복합운송증권의 발행 및 법적 규제사항(각 운송구간별 적용법령 등)을 확인해야 할 것이며 어떠한 운송수단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을 도입하면 운송 주체와 책임 분담 혼란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려면 명확한 계약 구조와 문서가 필수입니다. 계약 구조로는 먼저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 계약은 단일 운송업자가 해상, 항공, 육상 등 모든 구간의 운송을 책임지도록 하며, 화주와 MTO 간 책임 범위(손실, 지연 등)를 명시합니다. 인코텀즈로는 DDP나 DAP를 활용해 최종 책임 소재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운송 구간별 하청업체와의 개별 계약을 MTO가 관리하도록 구조화하면 혼란이 줄어듭니다.

    필요 문서로는 복합운송선하증권(MTD, Multimodal Transport Document)이 핵심입니다. 이는 B/L, AWB를 통합한 단일 문서로, 전체 운송 경로와 조건을 기록하며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추가로, 상업 송장, 포장 명세서, 원산지 증명서 등 기본 수출입 서류와 함께 각 구간별 운송 증빙(예: 해상 B/L, 내륙 운송장)을 보조적으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복합운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명확한 계약 구조와 표준화된 문서가 필요합니다. 복합운송주선인과 화주 간의 계약에서 운송 구간별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고, 손해 발생 시 보상 기준을 명시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하고, 단일 운송증권을 활용해 각 운송 수단별 계약을 일원화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국제규칙을 준수하는 복합운송 선하증권을 발행해 물품의 인도 시점과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보험 가입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