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1993년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평화 협정으로 체결됬는데요 왜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나서도 아직도 서로 싸우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1993년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평화 협정으로 체결됬는데요

왜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나서도 아직도 서로 싸우고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영토 분쟁은 1967년 중동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지구와 가자지구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예루살렘의 영유권 문제, 인도주의 적 문제와 국제법 위반으로 인한 봉쇄정책 등 다양한 요인들이 두 나라 간의 분쟁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영토 문제에 대해 완전히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예루살렘의 영유권 문제와 이스라엘 정착촌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아무래도 서로 민족적인 특성도 다르며

      정치적으로도 상당히 다른 노선 등을 추구하는 등

      이에 따라서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협정 채결한다고 다 해결되면 세계2차대전도 일어나지 않았겠죠

      모두가 만족하는 완벽한 협정이란건 거의 없기 때문에

      99%의 협정은 누군가가 뭔가를 양보해야 이뤄집니다.

      문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은 각자 억울한 점이 있는 데다가

      종교라는 이념문제가 섞여 있었단 거죠

      오슬로 협정도 당연히 불만가진 세력이 많았습니다

      이스라엘측 아즈하크 총리는 95년에 국내 극우파에 암살당하고

      96년에는 하마스가 협정 반대 태러를 일으키는 등

      협정 이뤄진지 1년도 안되서 문제가 되었고

      결국 96년에 이스라엘에 극우강경파 총리가 당선 되면서

      협정이 이행될 가능성도 사라졌구요.

      미국이 억지로 밀어 붙여서 조금 진행되긴 했지만 결국 유명무실해졌어요

      거꾸로말하면, 미국쯤 되는 나라가 억지부려야 시작이라도 할 수 있었던 거니

      이스라엘도 팔레스타인도 뭐 하고 싶어도 못했던 겁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화협정을 체결하였지만

      결국엔 종교적으로도 영토적으로도 서로 갈등을 빛을수 밖에 없는 지리적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지속적으로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세력은 존재하였고

      이번에 하마스가 테러를 하며 다시 전쟁이 벌어진것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