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한결같은라마카크3
한결같은라마카크321.11.25

백신 1차, 2차는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1차, 2차 맞아야되는 백신(화이자, 모더나 등)은 동일 용량 동일 약물 투여인가요?

아니면 용량이나 성분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1, 2차 백신 접종에 사용되는 약물이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시군요.

    화이자, 모더나 백신의 경우 1, 2차에 사용되는 약물은 동일한 약물이며, 용량 또한 동일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1차, 2차 맞아야되는 백신(화이자, 모더나 등)은 동일 용량 동일 약물 투여입니다.

    화이자는 0.3ml 로 3주간격으로 1,2차

    모더나는 0.5ml 로 4주간격으로 1,2차 입니다.

    단, 모더나의 3차 접종(부스터샷)은 원래 용량인 0.5 ml 의 절반인 0.25ml 로 접종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동일한 제약회사에서 제조한 백신을 맞는다면, 기본접종 (1차와 2차)에 사용되는 약물은 동일 약물입니다.

    다만 부스터샷의 경우 모더나는 기본접종의 절반용량을 사용하도록 정부에서 공지하고 있습니다.


  • 백신의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는 동일한 백신을 동일한 용량으로 한 번 더 추가하여 접종하는 것입니다. 한 번 접종 만으로는 항체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두 번 접종하는 것일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기본접종에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1차와 2차접종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추가접종에서는 화이자는 기본접종과 같고 모더나는 절반용량만 접종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백신 1차와 2차는 동일한 용량을 접종합니다.

    성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부스터샷의 경우 모더나는 기존에 맞는 용량의 절반을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1차와 2차 모두 성분 함량은 동일하게 접종합니다. 개개인마다 면역체계 및 체질이 다르기에 백신 접종후에 다른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2차접종시 1차접종 보다 면역반응이활발히 일어나 이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시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예측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화이자, 모더나는 1차와 2차에서 동일한 용량, 같은 방법으로 접종합니다. 차이가 없습니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코로나19의 항원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설계도를 mRNA형태로 만들고, mRNA를 지질나노입자 속에 넣어서 우리 몸에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1차 때는 mRNA라는 설계도를 인체에 주입한다면, 2차 때는 설계도에 따라 인체 내에서 면역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납니다. 백신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가벼운 이상반응들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이상반응도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백신 1,2차 약제는 사실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항체형성을 잘 해주기 위해서 1,2차 나눠서 mRNA 백신을 맞는 거구요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진 약사입니다.

    기본접종 백신의 경우 1차, 2차 모두 동일약물을 동일한 양 만큼 투여하게 됩니다. 다만, 부스터샷의 경우 모더나백신은 기본접종 용량의 절반용량만 접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차와 2차를 같은 백신을 맞게 되면 동일한 용량을 주입하게 됩니다.

    다만 1차보다 2차때 항체 생성이 더 격렬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2차 접종 후 약간 통증이 심할 순 있습니다.

    같은 백신 맞으면 같은양을 맞는 것이며, 성분이나 용량 차이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1,2차간 백신은 동일한 용량으로 접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상반응은 2차에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첫번째 접종을 하게되면 외부에서 들어온 무언가를 면역체계에서 감지하고 그 외부자를 없애기 위해 면역 시스템이 처음으로 작동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면역세포들은 침입자를 인지하고 거기에 대응하는 법을 익히게 되며 이 과정이 부작용처럼 나타납니다.

    두번째 샷을 맞게되면 이미 면역시스템은 그 침입자를 인지하고 있기에 즉각 대응에 나섭니다. 효과적인 공격이 즉시 이루어 지는 만큼 부작용도 더 심하게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상반응은 대부분은 1-2일이 지나면 (길어도 보통 수일) 사라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1,2차 용량과 약물은 동일합니다.

    mRNA는 코로나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정보가 담긴 일종의 '설계도'입니다.

    1차 접종은 설계도에 따라 항원을 만들고 항체를 일부생성하는 등 면역체계를 준비하는 과정이라면 2차접종때는 본격적으로

    항체를 생성하게 되기 때문에 2차때에는 직접적으로 면역반응을 활발히 유도하는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은 1, 2차 모두 동일한 용량으로 접종하시게 됩니다.

    코로나 백신을 2회 분할로 접종하시는 이유는

    1회 접종으로는 충분한 항체형성을 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시간 간격을 두고 2차 접종을 하여 면역 효과를 얻게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1차 2차 백신 모두

    동일합니다.

    다른것은 없습니다.

    한번 맞아서 충분한 항체가

    형성되지 않기에

    2차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부스터샷도 마찬가지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25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1차와, 2차 백신접종은 백신의 수급문제나 알레르기 등으로 동일백신을 사용하지 못하는 특수한 상황을 제외한다면,

    동일 약물을 동일 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동일약물을 맞을수도 교차접종을 통해 다른 약물을 맞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부작용은 1차, 2차가 비슷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의사입니다.

    화이자, 모더나는 1차와 2차때 접종하는 약물의 양이나 농도는 동일합니다.

    다만, 부스터샷때는 화이자는 1,2차와 동일하지만, 모더나는 1,2차때의 절반의 용량만 주입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1차 접종이나 2차 접종 모두 동일한 성분을 같은 용량으로 접종하게 됩니다.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요. 부스터샷(3차 접종)의 경우에는 화이자는 동일 용량으로 접종하나, 모더나는 부작용 여부를 고려하여 기본 접종량의 절반으로 접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1차접종에서는 항원을 만들고 항체를 일부 생성하는등 면역체계를 준비하는 과정이지만 2차접종에서 본격적으로 항체형성 반응이 더 폭발적으로 일어나기때문에 더 강한 면역반응을 일으킵니다. 그렇기에 고열과 같은 부작용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면역체계가 달라 부작용이 심하지 않을수도잇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1차, 2차는 기간을 두고 추가접종을 할 뿐이지

    동일한 용량 동일한 백신을 맞는것이 원칙입니다.

    별로 다른게 없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1차 접종과 2차 접종시에는 동일 용량 동일 약물을 투여하게 됩니다.

    용량이나 성분에 차이가 없습니다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mRNA백신(화이자, 모더나)은 일종의 설계도를 체내에 주입하여 코로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내고, 만들어낸 항원을 토대로 항체를 만드는 구조입니다. 1,2차 접종시 같은양, 같은 성분을 접종하지만 1차 접종시는 설계도만 주입하는 것이기에 면역 반응이 크게 나타나지 않을수 있으나 2차 접종때는 코로나 항체가 형성이 되어있기에 만들어진 항원을 상대로 면역 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1차, 2차 접종은 동일 용량과 동일 약물로 접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백신 재고량 등으로 인해 일부경우에는 타 백신간 교차접종을 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화이자 모더나 같은 mRNA백신의 경우는 1,2차 모두 동일성분 및 용량으로 접종을하게 됩니다.

    1차접종시 우리몸에 기억세포라는 것이 형성되는데 2차는 이러한 기억세포에 의해 면역반응이 더 강력하게 일어나게 되고 예방효과또한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