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다소도
다소도23.04.10

반려동물이 아이들하고 같이 키우면 좋나요

반려동물이랑 애들이랑 같이 지내면 정서적으로 좋나요? 장단점이 있나요. 혹 반려동물이 애들한테 해코지를 하지 않을까요 이게 걱정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동물을 키우는데 정서적으로 좋을 수도 있고 좋지 않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작은 발려동물의 경우에는 연약한 존재임으로 부모님들이 이런 약한 생 홍치를 잘 돌보는 모습을 아이들이 본다면 정서적으로는 좋을 수 있겠지만 우선 순위가 아이들이 아닌 동물이 되어버릴 경우에는 당연히 좋지가 않겠죠

    아마 동물을 키우는 데 아이들한테 절대적으로 정서적으로 좋다는 것이 좋다면 대한민국의 60% 이상의 가구 수들이 동물을 키울 듯합니다.

    물론 훈련이 되지 않는 강아지의 경우에는 아이들을 물거나 그럴 수 있지만 새끼 강아지 때부터 분양을 받아서 사람들과 오래 살 경호 회는 강아지가 해 꼬치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해코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강아지와 교육과 훈련이 잘 되어있는지

    강아지의 평소 성격이나, 성향이 어떤지 파악도 중요합니다.

    어린아이들이 강아지와 같이 커가면서

    정서적인 함양과, 또한 면역관련 질환에도 덜 걸리는 것으로 (아토피 피부염 등)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시간내어 좋아요 추천 한번 씩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워서 아이 정서에 좋은게 아니라

    반려동물이라는 약자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를 보고 아이들의 정서가 좋아지는것입니다.

    조두순이나 유영철도 어린시절 집에서 강아지 키우던 집 자손입니다.

    그 부모가 개를 대하는 태도가 그들의 인생을 바꿔둔것이니

    부모가 동물을 키워도 되는 사람인지, 얼마나 동물에 대해 헌신적이고 희생적으로 대하는지에 따라 아이 정서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오히려 독이 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동물과 같이 자라게 되면 심리적 안정감과 배려심, 유대감 강화,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 등 다양한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100% 좋을 순 없죠. 아이가 강아지 털 알러지가 있는 경우나, 혹은 강아지나 고양이를 무서워할 수도 있고, 혹은 강아지나 고양이가 아이를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반려동물과 아이를 꼭 함께 키우시려거든 키우시기 전에 반려동물의 성격과 아이의 성격을 고려해야합니다. 또한 같이 있는 동안 항상 감독하고 아이가 반려동물을 잘 다루는지 관찰하고 반려동물이 싫어할만한 행동을 하면 교육을 시켜줘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