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도도한두꺼비135
도도한두꺼비135

원ㆍ달러환율이 1300원대인데, 미국기준금리는 2.7%인 이상황이 이해가 안갑니다.

환율을 보면 주식을 살때인것같은데, 미국기준 금리가 지난번 고점 2.5%보다 높은 상황인데 이정도면 주가가 더 오르기 부담스러운 상황인거 같은데요?

이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을 보면 주식을 팔아야 할 때인것 같습니다. 외국인 자본들이 이탈하고 있는 시점에서는 매도우위가 점쳐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현재 기준금리는 2.5%이며, 한국의 기준금리는 금일 0.25% 상승하여 2.5%가 되어 미국의 기준금리와 동일합니다. 그래서 오늘 환율은 전일보다 7원정도 떨어진 상태로 외환시장을 마감했습니다.

      앞으로 미국은 9월 20~21일 FOMC에서 0.75%의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 9월 말에 다가올수록 외국인 자본의 이탈이 예상되며 이로인한 매도우위가 점쳐질시 주식은 하락할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입니다.

      안정적으로 들어가시는 시기는 금리인하기 즉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어느정도 없어졌을때가 안정기라고 생각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환율이 다소 고점이라는 판단이신 것 같은데 지금 차트상 위에 매물대를 뚫어준 모습입니다. 따라서 환율이 1300원대에서 더 폭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는 1500원까지 봅니다.

      위는 달러원 환율입니다. 저 깊은 골은 2009년 경제대공황 때 입니다. 지금 보시면 매물대가 1차적으로 뚫린 것이 확인 가능합니다.

      다음 매물대는 2009년 매물대입니다. 그리고 그 매물대 가격이 1500원입니다.

      그리고 제가 환율이 1500원까지 갈 거 같다는 이유는 밑에 금리 인상이 추가적으로 이어질 거 같아서 이기도 합니다.

      2. 미국 금리도 마찬가지입니다. 2.5%는 높은 상황이지만 그건 상대적인 것입니다. 지금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내년 어쩌면 내 후면까지도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할 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지금 섣불리 투자를 하시기 보다는 좀 더 관망하시거나 아니면 분할 매수하는 관점으로 보시는 걸 권합니다.

    • 미국이 자국 물가 때문에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올려 상대적으로 국내 이자율이 약세이므로 환율이 높아지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경제 현상입니다.

      그럼에도 미국 금리는 높은데 환율도 높은 상황이 이해가 안간다는 말씀은 아마 미국 주식 매수를 염두에 두고 하시는 말씀으로 이해가 됩니다.

      미국의 금리를 보면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장일 듯 한데, 반면에 환율이 높아 상승장이 될 수 있을 것도 같고, 이런 상황이 이해가 안된다는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주식 투자에 따른 시세차익과 환율 차이에 따른 환차익을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외 투자 시엔 주식 매도에 따른 시세차익이 발생하더라도 원화로 환전하는 과정에서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반대 상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시세차익과 환차익 각각의 플러스 마이너스가 항상 같은 방향이진 않습니다.

      미국은 그간 자국의 경제성장 저하와 코로나19 팬데믹 때문에 계속 양적완화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자국 물가의 급격한 상승 문제로 반대로 테이퍼링을 거쳐 유례없는 기준금리의 인상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세계의 자금이 달러 화폐에 쏠리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자금의 세계적인 이동이 달러 보유에서 끝날지 미국 주식시장까지 유입이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의 방향성에 의문점이 있다면 주식 매수는 하지 않고 환차익만 노려 달러 투자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이론적으로 접근한다면 지금의 환율구간에서는 외국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하고 자산시장은 둔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 하지만 현재는 이미 예상한 악재는 반영이 되었고 앞으로 물가도 꺾이고 금리도 꺾일 것을 기대하고 움직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 지난 미국 cpi 발표에서 물가의 상승추세가 반전되었고 이번 물가지수 발표도 꺾인 다면 자산시장에는 더욱 호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올해 말까지 미국은 3%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에 3% 이상의 악재는 없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투자에 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기준금리는 2.5포인트이며 올해초부터 계속된 금리인상을 실시하고 있으며 9월달에 추가금리인상이 예정되어 있으며 그에따른 달러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투자심리위축으로 증시에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식전망은 알 수 없습니다만

      현재는 불확실성이 매우 큰 단계이기 때문에

      당분간 주가가 상승을 많이 하기는 힘든 상황인 것 같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