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하얀테리어133
하얀테리어133

시골 논 증여받았을 경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시골사는 부모님이 논을 천평정도 주신다는데..팔아서 돈이 되는 지역도 아니고.. 가서 농사지을게 아니라면 논을 어떻게 활용해야 돈이 될까요? 농사직불금은 직접농사를 지어야만 가능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농지를 임대 주시거나

    정부 지원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를 통해 수익을 올리시는게 좋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농사직불금은 실제 농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지원하는 보조금이기에 농지를 소유하였다고 무조건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농지의 경우 매매나 증여를 할 경우 매수자, 수증자 모두 농취증(농업취득자격증명)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농업인이 아닌 사람은 1세당 1000제곱초과하여 농지를 보유할수 없기에 증여시 농업경영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고 이후에 시,군의 현황조사를 하여 계획대로 이용하지 않을 경우 높은 수준의 이행강제금이 부과되고, 이후 행정처분등의 불이익이 있을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증여전에 유지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 네 직불금은 본인이 농사를 직접지어야 받을수 있습니다

    본인이 농사를 못지으면 임대를 주셔도 됩니다

    그런쪽으로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시골에 계신 부모님께서 천평 정도의 논을 증여해 주신다니,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농사를 직접 지을 계획이 없고, 팔아서 큰 돈이 될 지역도 아니라고 하셨으니, 다른 방법들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첫째로 생각해볼 수 있는 방법은 논을 임대하는 것입니다. 농사를 지을 의향이 있는 지역 농민에게 논을 임대해주면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임대료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꾸준한 소득원이 될 수 있죠. 또한, 임대료 계약 시 농사직불금을 받을 수 있는 농민과 계약하면 더 높은 임대료를 받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농사직불금은 직접 농사를 지어야만 받을 수 있지만, 임차인이 직불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도 고려해보세요.

    둘째, 계약재배라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부 기업이나 농협에서는 특정 작물을 재배해주고 수확물을 구매하는 계약재배를 진행합니다. 이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작물의 수요가 높은 기업과 계약을 맺으면 꾸준한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셋째, 농업법인을 설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가족이나 지인과 함께 농업법인을 설립해 전문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 있고, 법인을 통해 정부 보조금이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농업법인은 다양한 농업 관련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넷째,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농촌 지역에서는 다양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귀농귀촌 지원, 농업기술센터의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농지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작물 재배나 농업 기술 개발을 위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농지의 가치 상승 가능성을 고려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미래에 개발 가능성이 있거나, 주변 지역의 발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농지를 보유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토지 가격이 상승할 경우,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들을 고려해보시고, 본인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안을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여받은 논을 잘 활용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