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4.03

산불로 전국이 난리 입니다. 우리나라에 역사적으로 기록된 산불에 대해 궁금합니다.

조선시대에도 이런 산불이 날 경우 역사적 기록이 있는지요? 생태계 파괴로 최근 난리인데 조선시대에도 이런 산불이 나면 어떻게 불을 껏는지 그리고 역사적으로 산불에 대한 기록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산불이 나면 인력으로 껐습니다.

    그러나 크게번지면 자연적으로 꺼질때 까지 기다리는 것은 현재나 비슷합니다.

    기록역시 있을것이나 현대처럼 기록은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산불 기록 중 최대 규모는 순조 4년(1804)에 발생한 강원도 동해안 산불이며 2,600호의 민가와 사찰 3곳, 창고 1곳이 소실되어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과 61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대형화재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시대 산불의 역사적 기록이 있습니다. 이때 조선 왕조는 산불을 예방하고 통제하는 조치를 포함하는 산림 관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화재를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해 소방탑을 만드는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정부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대규모 집단을 조직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화재를 신고하고 소방 노력을 돕도록 장려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종 20년 강원도 관찰사 이육이 아뢰기를, '2월24일 산불이 나서 양양부 주민 205호와 낙산사의 관음전이 연소되고 간성향교와 주민집 124호가 일시에 모두 탔는데...'( 조선왕조실록)

    중종 19년 어제 강원도 감사의 서장을 보니 '강릉땅에 산불이 바람을 따라 일어나 퍼져서 민가 240여호를 태웠는데 그 불이 일어난 까닭은 아직 잘 모른다'고 하였다 . 산불일지라도 민가가 이처럼 이웃으로 번져 불탔으니...(조선왕조실록)

    숙종 16년 4월 24일 변산에 산불이 있었다. '나라에서 쓰는 선재는 오로지 변산의 소나무에 의지하고있는데 수만여 그루가 처참하게 화재를 당했습니다'.... (국역비변사등록)

    산불은 금화군을 설치하고 인근 백성들이 함께 각종 소화도구로 불을 껐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여러 산불이 났다고 조선왕조 실록에도 자세히 나와 있으며

    강원지역이 많이 났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워낙 나무가 귀하고 해서 산불 관리를 잘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1489년 4월 4일, 양양, 산성 지방에서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낙산사, 간성향교 및 피해 주민에 대하여 인근 통천 지방의 전세를 옮겨 받아와 나누어 주었다고 합니다.

    중중 때 강릉에서 산불이 나서 민가 240호가 불타 소실 되었으며,

    현종 때 강릉 삼척 산불로 인해 민가 1,900여호와 곡물창고가 불탔다고 합니다.

    진화 작업으로는 맞불을 놓아 저지선을 만들어 저지하고,

    모든 사람들을 동원하여 진화 작업을 하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산불이 발생하였으며, 그에 대한 기록도 남아있습니다. 예를 들어, 1730년대에는 연변 지방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입혔습니다. 이에 대한 기록으로는 정조 이야기의 "열도에 불이 난 일"(1738)이 있습니다.

    또한, 조선 왕조 시기에는 산불 예방을 위한 다양한 법령이 제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대정권 김홍집이 지은 "산림절약도"에는 산불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산불 발생 시 불을 꺼내는 방법으로는 소등부(소방단)라는 조직이 존재하였습니다.

    산불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당시에도 산불 예방에 대한 인식이 존재하였으며, 산림 지킴이들이 불이 나면 신속하게 대처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