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인지 도움되는 정보좀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60대초반의 남입니다.
다름이아니라,
평소에 자고일어나면 눈이 눈꼽이 낀것같기도하고,갑갑하기도하고,뻐근하기도하고해서 불편한데요^ 방이너무건조해서 그런지 도움되는 정보주시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은 단순한 안구건조증보다는 안구의 감염증이 의심됩니다.
가까운 안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안구건조증은 근본적인 치료는 어렵지만 히알루론산 점안액을 사용하셔서 증상에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이라고도 하며 처방시 좀더 싸게 혹은 약국에서 바로 구매가능하십니다.자주사용해도 부작용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스마트폰, TV 시청시 꼭 중간에 5~10분가량은 휴식을 취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안구운동도 함께 병행해 주시고, 증상이 있을 때는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하셔서 대증치료 하시기 바랍니다. 반드시 안과 방문하셔서 검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단순히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정볼를 드리기 어렵습니다.
우선 안과 내원하시어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 가장 좋아보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구건조증의 증상으로 보이며 생각보다는 흔한 질병으로 건조한 것 역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이나 혹은 생리식염수 등도 사용할 수 있으며 주무실 때 가습기를 멀리 설치하는 것도
좋습니다. 안과 진료를 받으시기를 바라며 인공눈물 자체는 사용에 부담이 되지는 않습니다.
안구건조증은 쉽게 치료가 되지 않으며 만성화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원인이 명확하다면 원인이 되는 질환을 교정해주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습니다. 평상시에 인공눈물, 즉 안약을 수시로 점안하여 안구가 촉촉하게 유지될 수 있게 최대한 관리를 하시고, 주된 생활 반경에 가습기를 활용하여 습도를 잘 유지하는 정도의 관리 방법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건조증증상으로 보입니다.
건조증 치료방법은 보통은 인공눈물치료입니다.
인공눈물 점안로 해결이된다면 인공눈물 점안하시면됩니다.
보통 60세 이상에서는 건조증이 발생할수있습니다.
안과진료보시고 인공눈물 점안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안구건조증의 치료
인공누액 (인공누액을 불편할때마다 넣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눈물점을 폐쇄시키는 시술을 받아야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독서나 핸드폰 사용을 줄이셔야합니다.
가습기를 사용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안구건조증의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입니다. 겨울철에 건조함이 심해서 증상이 심해지셨을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물양이 줄어들어서 증상이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안구건조증은 눈깜빡임을 늘리고 (티비를 보거나 책을 보거나 하는 무언가를 집중해서 보는 활동시에 악화됩니다), 눈에 온찜질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인공눈물을 넣는것도 돋움이 되겟습니다. 주변환경의 습도를 올리는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구건조증의 치료에는 크게 약물치료, 생활환경 개선, 수술적 치료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인공눈물을 수시로 점안하는 것 이외에 원인이 심한 결막염이나 눈꺼품염증이 동반될 경우 경구약을 추가로 복용해 볼 수 있고, 따뜻한 물수건으로 5-10분 정도 온찜질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활환경이 너무 건조할 경우 건조증이 악화되므로 필요시 가습기를 사용하고, 40-50분 정도 한곳을 응시했다면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안구건조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호두나 등푸른 생선 등을 섭취해 보시는 것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안과에서 눈 상태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만, 증상만으로는 안구 건조가 가장 의심되기는 합니다. 안구 건조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인공 눈물을 사용해서 증상을 완화시키고, 가급적 눈물이 잘 건조할 수 있는 환경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지요.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물을 자주 마시고,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전자 기기를 오랜 시간 보는 것을 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온찜질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