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06.19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친족 용어가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유독 친족 용어가 발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미국에서는 aunt가 우리나라에서는 이모, 고모 등 여러 친족어로 쓰이듯이 우리나라가 친족 용어가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친족에 대한 용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고, 또 같은 용어라 하여도 시대에 따라 그 의미내용이 변화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친족용어를 분석함으로써 친족의 범주 내지 친족조직의 특징 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특히 주의하여 살펴볼 측면은 부계친과 모계친, 처계친을 엄격하게 구별하였는가 하는 점과 만약 구별하였다면 그것은 언제부터이며, 그리고 하나의 조직 내지 집단으로서의 부계친(父系親)의 존재는 언제부터 뚜렷해졌는가 하는 점이다.


    그러나 1700년대 이후에 나타나는 제족(諸族)의 ‘족’이나 문족(門族)은 부계친만을 의미한다. 1700년대 이후부터 일반입양시에 입양상담대상자는 벌써 부계친만으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입양협의대상자로서의 친족이나 문족이 부계친을 지칭하는 것은 명백하다.


    한편, 17세기 후기에 나타나는 소족(疏族) · 소원족(疏遠族) · 원족(遠族)은 부계의 원친(遠親)을 의미하고 근족(近族)은 부계의 근친을 나타낸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예전 부터 대가족 체계를 이루며 살았고 가족 관계를 중시하는 문화로 인해 친족어가 발달되었다고 합니다. 혈연이나 혼인으로 이루어지는 친족 명칭은 남성과 여성의 구별, 친가 (親家)와 외가 (外家)의 구별 등의 기준에 바탕을 두고 친족 명칭 체계를 확립 해 나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