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유연한꽃게265
유연한꽃게26522.09.12

경기침체기의 장단기 국채금리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경기침체 예측지표중 장단기 국채. 회사채관련

영상을 보았는데 근원적 이해가 부족해서 문의 드립니다.

일반적인 경제상황일때 단기금리가 낮고 장기금리가 높다는데 1)왜 단기국채금리가 더 낮게 책정되는것인가요? 2)경기침체기가 오면 장단기 국체금리 역전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때문 인가요?


경기침체기가되면 가산금리(리스큰비용)가 높아진다는데 가산금리는 누가(시중은행 연합?) 정하는것이고 그 인상폭에 법적 제한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단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자금이 묶여 있는것이 투자처입장에서는 그만큼 자금을 더 사용할수 있기에 금리가 높은것이며 경기가 불안할수록 투자자들이 자금을 장기적으로 묶여놓지 않을려고하는것입니다.리스크를 줄이기위한것이죠.,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경제상황에서 장기채권 금리가 단기채권 금리보다 높은 이유는 장기간에 대해 발행할수록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리스크에 대한 분담을 위해서 금리를 더 높게 주는 것입니다. (1년뒤에 무슨일이 있을것 같다고 생각하지만 10년뒤라면 예측하기가 힘들겠죠)

    여기서 채권이란 녀석의 성격을 다시 생각해보면 채권은 '차용증서'입니다. 즉 돈을 빌리고 언제까지 돈을 이자와 함께 갚겠다는 것으로 '예금'과는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단기채권 금리가 더 높게 된다는 것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보다 당장 눈앞에 닥친 경제의 위기리스크가 더욱 높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입니다. "10년뒤 경제는 잘 모르겠지만 1년뒤 경제가 확실히 10년후보다는 안좋을 것 같아!" 이런 생각이 공유되고 이것이 단기채권 금리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혹은 개인적으로 A라는 친구에게 돈을 빌려준다고 생각해보시면 1년뒤에 A라는 친구가 직장을 잘 다니고 돈도 잘 갚을것 같긴 한데, 10년뒤에도 직장을 잘 다니고 내 돈을 잘 갚을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될 겁니다.

    그런데, 지금 경제 돌아가는 상황이 심상치 않아서 A라는 친구가 내년에 당장 실직을 할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친구한테 돈 빌려줄때 받는 실직상황에 대비해서 이자라도 더 높게 받아야지!라는 생각이 들게되지만, 10년뒤에는 지금 실직하더라도 다시 직장을 잡게 되서 돈을 갚을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더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경제가 나빠지게 되면서 단기 장기 채권의 금리역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금리가산 스프레드는 말 그대로 경제에 대한 예측을 하고 리스크를 분담해서 자율적으로 발행하는 '차용증서'이다 보니 상한선은 없습니다. '채권'을 안사주면 그만이니깐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장기금리는 더 장기적이고 미래에는 어떤 일이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조금의

    더 높은 금리를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다보면 채권금리는 낮아지게 되고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채권의 금리가 장기국채의 금리가 역전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 하여

    역전이 생기는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