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은 아이들에게 족쇄가 될 수도 있을까요?
아이들 인식에 핸드폰이 있으면 게임도 하고 좋지만, 핸드폰이 있다면, 부모님에게 연락오고 위치도 확인이 되고 되려 족쇄라는 인식이 있다고 해서요. 실제 아이들도 그렇게 생각하는건가요?
아이들은 휴대폰이 족쇄라고 생각을 하는 것보다
오히려 휴대폰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재미를 더 즐기는 것 같습니다.
성인에 비해서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양육자가 그 사용을 관리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핸드폰의 경우에는 요즘에는 거의 필수적인 세상이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사용하는데 따라서 족쇄가 되기도 하고 아주 편리한 물건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을합니다. 먼저 아이들과 연락을 할 수 있기에 안전을 책임질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만 미디어나 게임에 노출이 되어 중독이 된다면 이것이 바로 족쇄가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휴대폰을 사주실때는 교육을 잘 해주시는게 중요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핸드폰을 가지고 있을 때 그것을 일종의 "족쇄"로 인식하는 경우가 실제로 있습니다. 이 이유는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는데요. 먼저, 부모님들이 자녀의 핸드폰을 통해 위치를 확인하거나 연락을 자주 하는 경우, 아이들이 이를 감시받는 느낌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위치 확인 기능이나 부모님과의 연락이 아이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이유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시점에서도 자신의 위치와 행동이 항상 부모에게 노출된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일부 아이들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한된다고 생각해 핸드폰을 불편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가진 아이들이 공부 중이거나 친구들과 있을 때에도 부모의 메시지나 전화에 즉각적으로 응답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핸드폰이 자유로운 소통과 즐거움의 도구일 뿐 아니라 언제든 부모가 접근할 수 있는 통제의 수단으로 다가올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아이들이 핸드폰을 족쇄처럼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부모와 아이 간에 명확한 사용 규칙을 정하고, 일정한 자유를 주는 방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이나 연락이 꼭 필요한 상황에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아이들에게도 일정한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