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향기좋은민들레285
향기좋은민들레28523.05.01

지질학의 기본 개념과 역할은 무엇인가요?

지질학이 우리 삶과 지구의 역사에 어떤 역할을 하는건가요? 그리고 지질학적 시대 분류와 지구 내부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질학은 지구의 역사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지구의 지질적 현상과 지질학적 기록을 바탕으로 지구의 역사와 자연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질학적 시대 분류는 지구 역사에서 대규모의 지질학적 사건을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구 역사를 알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질학적 시대 분류는 지질학적 기록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캠브리아기, 실루리아기, 데브로기, 탄생기, 십이지기 등이 있습니다.

    지구 내부의 구조는 지구의 중심부에서부터 지표면까지의 지질학적 구조를 의미합니다. 지구 내부의 구조는 지구 과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구 내부의 구조는 지구의 중심부에서부터 지구 표면까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지질학적 모델이라고 합니다.

    지구 내부의 구조는 크게 지구 중심부, 지구 맨틀, 지각플레이트, 지각플레이트의 경계인 지각판 경계, 그리고 지각플레이트와 대기권의 경계인 지각-대기 경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각플레이트는 지각의 윗부분을 이루는 바위층으로, 지각판 경계는 지각플레이트가 서로 충돌하거나 미끄러지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각판 경계에서 지각플레이트 간의 지진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지구의 지질적 변화가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질학은 지구의 구조, 구성, 발전, 변화 등 지구의 모든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지질학은 지구 과학의 하나로서, 지구의 지질적 역사와 지질적 현상을 이해하고, 지질 현상이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자연환경 보전과 재해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로 지질학의 경우 방재(재해방지)관련 연구나 자원에 관련된 연구를 하기위해 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또한 요즘은 지질학의 특정 분야를 특화시키거나 다른 자연과학학문과 연계하여 새로운 전공으로 분리해놓은 학과도 많습니다.

    지질학(地質學, geology)이란 말은 그리스어의 ‘Geo’(지구)와 ‘logos’(논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지구’(earth)를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自然科學, natural science)의 한 분야이다. 지질학은 지구의 성분, 구조, 형성과정 및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지질학은 지구의 구성 물질, 그 물질의 분포상태와 구조, 지구에 미치는 여러 가지 작용, 이들 작용으로 인한 변화 등을 연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구의 역사와 그 변천과정을 밝히려는 학문이다.

    지질학은 고체지구(solid earth)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분야로 표현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체지구라는 말은 공기로 되어 있는 대기권과 물로 되어 있는 해양에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것으로 대기과학(大氣科學, atmospheric science)과 해양학(海洋學, oceanography)의 분야와 구분된다. 그러나 지구 내부에 있는 지하수, 마그마, 외핵 등의 액상 물질은 지질학에서 취급한다.

    초기의 지질학에서는 지구의 역사에 중점을 둔 지사학(地史學, historical geology)의 연구가 대세를 이루었으나, 그 후 지질학의 발전에 따라 그 연구분야가 광범위해지고 세분되어 왔다. 최근에는 지구에 일어나는 복잡한 지질 작용과 지구시스템에서의 상호작용 등 지질학의 연구범위가 매우 넓어지게 되어 지질과학(地質科學, geological science)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지질학은 지구의 탄생에서 현재까지의 모든 무생물계 및 생물계의 변천 역사를 밝히며, 이를 통하여 미래의 변화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질학은 자원의 이용과 지구환경의 보존에 있어서 인간생활에 필요불가결한 학문이므로, 지구와 인류의 운명이 다 할 때까지 계속해서 발전해야 될 학문이다.

    지질학은 공간적으로 지구뿐만 아니라 달, 화성 등의 우주 천체에 대한 연구로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분야로서 행성지질학(行星地質學, planetary geology), 우주지질학(宇宙地質學, astrogeology), 월지질학(月地質學, lunar geology) 등이 있다.

    지질학의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이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지질학의 세부분야로서 광물학(鑛物學, mineralogy), 암석학(岩石學, petrology), 고생물학(古生物學, paleontology), 지구화학(地球化學, geochemistry), 지구물리학(地球物理學, geophysics), 구조지질학(構造地質學, structural geology), 광상학(鑛床學, ore deposit geology), 수리지질학(水理地質學, hydrogeology), 퇴적지질학(堆積地質學, sedimentary geology), 환경지질학(環境地質學, environmental geology), 석유지질학(石油地質學, petroleum geology), 해양지질학(海洋地質學, marine geology), 행성지질학(行星地質學, planetary geology), 지질공학(地質工學, engineering geology), 지진학(地震學, seismology), 화산학(火山學, Vulcanology), 응용지질학(應用地質學, applied geology), 농림지질학(農林地質學), 토양학(土壤學, soil science), 지형학(地形學, geomorphology), 지질재해학(地質災害學), 경제지질학(經濟地質學), 생지질학(生地質學), 관광지질학(觀光地質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