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상대등이라는 직책은 어떤것인지?
안녕하세요? 삼국시대에서 신라의 상대등이라는 직책이 있었던 것으로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데요 이 상대등은 어떠한 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대등은 귀족 세력을 대표하는 신라의 최고 관직으로 왕을 도와 나랏일을 보는 한편 귀족 세력을 대표하면서 화백 회의를 이끌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의 상대등 이란 귀족의 대표자로서 왕권을 겨제하는 신권을 대표하는 위치에 있으며, 국왕을 보좌하며 행정을 맡는 시중과 성격은 좀 다르지만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왕권의 변화와 함께 상대등과 시중의 파워는 엎치락 뒤치락 했다고 합니다. 왕권이 가장 강했던 시기에는 거의 형식적인 정도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대등은 신라시대의 최고 관직입니다.
일명 상신이라고도 한다. 531년(법흥왕 18)에 처음 설치되어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400여 년 간 존속하였다. 『삼국사기』에는 모두 43명의 상대등 기록이 있다.
상대등은 대등으로 구성된 귀족회의의 주재자로서 명실공히 신라 귀족을 대표하는 존재였으므로, 진골 중에서도 이찬 이상의 관등을 가진 자가 주로 임명되었다. 신라 금석문에서도 대등의 존재가 보인다. 대등은 사로국 성립 시기부터 있었던 전통적인 특권이 일정하게 보장된 반독립적 세력들이다. 6세기 중반 이후 중앙관부가 설치되면서 많은 대등들이 특정 관직을 맡게 되었는데, 정치운영 또는 권력구조에서 그들이 발휘하는 영향력은 일정하게 화백회의라는 귀족회의를 통하여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대등들 중 유력한 한 사람이 선임된 것이 상대등이다. 상대등의 상은 대등의 명칭이 생긴 이후 그 보다 높은 관직으로써 상대등이 등장함에 따라 붙여진 것이다.
상대등의 임무는 종래의 이벌찬의 임무에서 병마사를 제외한 국사를 전담하는 것이었다. 즉 상대등은 이사금 시기 이래의 권력구조상 신라 국왕보다는 낮았지만 그에 버금가는 세력을 지니고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 즉 이찬들의 상위에 있는 이벌찬의 전통적 지위를 제도적 차원에서 고정시킨 것이었다.
중고기에 왕 중심의 집권체제가 성립됨에 따라 기존의 귀족회의체로부터 행정관부의 분리 · 독립에 따른 관등과 관직의 분화가 이루어졌는데, 왕은 종래의 귀족세력을 관료화하여 직책을 위임함으로써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상대등의 설치는 이러한 행정개편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측면이 있다.
그러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지위가 크게 세 차례 변화를 겪었다. 즉, 귀족연합체제를 주축으로 하던 중고기에는 진골 중에서도 가장 문벌이 좋은 자가 상대등으로 뽑혀 귀족을 통솔했을 뿐만 아니라, 국왕과 더불어 권력과 권위를 서로 보완하였다. 상대등의 지위는 귀족 내부의 경쟁을 통하여 확보되고, 국왕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유지되는 것이었다. 즉 상대등은 진골귀족의 대표자로서 국왕에 대한 견제와 동시에 협력하는 존재였다.
국왕의 교체와 때를 같이해 상대등이 교체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 것이 이 시대의 특징이었다. 또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종신직이었다. 그러므로 상대등은 왕위의 정당한 계승자가 없을 경우에는 왕위계승 후계자로 추대되는, 또한 스스로 후계자임을 자처할 수 있는 정치적 지위를 누렸다.
647년(선덕여왕 16) 1월에 상대등 직에 있던 비담이 여왕의 교체를 주장하였고, 그것이 관철되지 않자 반란을 일으킨 것은 유명한 사건이다. 그러나 태종무열왕이 즉위한 654년부터 시작되는 중대의 전제 왕권 체제에서는 정치적 실권자의 위치에서 크게 후퇴하였다.
즉, 정치적 실권은 651년(진덕여왕 5)에 설치된 국왕 직속의 최고 관청인 집사부에 넘겨 주고, 다만 행정에 대한 득실을 논하는 비판자의 지위로 약화되었다. 따라서 상대등에 취임하는 자도 종전처럼 반드시 최고 문벌 출신일 필요가 없게 되었으며, 임기도 종전의 이른바 1왕대 1상대등제가 반드시 지켜지지는 않았다. 신라에 합병된 금관가야 출신인 김유신이 상대등에 임명된 것이라든지, 경덕왕 때 왕의 개혁정치에 불만을 품은 김사인이 재임 중에 물러난 것 등은 그 단적인 사례이다.
780년(선덕왕 1) 전제 왕권의 파탄과 더불어 전개되는 하대의 귀족연립체제에서는 다시금 지위가 높아져 중고기와 비슷한 상태로 바뀌었다. 상대등이 국왕과 거취를 같이하게 되었으며, 상대등에 취임하는 자 가운데는 국왕의 근친이 많았다. 이 경우 대개 병부령을 거쳐 상대등이 되었다가 왕위를 계승하는 일이 늘어나는 등 정치 일선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었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신무왕이 즉위할 때까지(836∼839년) 치열했던 왕위계승쟁탈전에서 상대등이 위력을 발휘하였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신라 하대의 상대등은 오히려 중고기에 비해 더욱 강력해진 존재였던 것 같다. 889년(진성여왕 3)의 전국적인 농민반란 이후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상대등 직은 귀족 전체의 단합을 위한 매개체이자 동시에 그 상징적인 구실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대등은 귀족 세력을 대표하는 신라의 최고 관직으로 귀족세력을 대표하며 화백회의를 이끄는 등 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