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여자의 옷이 저고리와 치마가 중시되는 문화였다면 남자의 옷은 저고리와 바지가 아닌 그 위에 덧입는 큰 옷 즉 포가 중시되는 문화였습니다. 요즘은 포에 속하는 일상 옷으로 두루마기만 남아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종류가 많았다고 합니다. 관직자들이 입는 단령 그 안에 받침 옷으로 입거나 따로 겉옷으로 입었던 직령, 답호, 철릭,창의, 도포, 중치막, 액주름, 소창의 등이 있습니다. 물론 이들 옷의 형태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조금씩 달라지지요. 대표적인 것이 철릭인데 철릭은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기다란 옷인데 쉽게 얘기하자면 저고리 아래에 주름을 많이 잡은 치마를 붙여 놓은 형태입니다. 상의는 몸에 맞게 만들고 치마 부분은 옷감을 여러 폭 붙여서 아래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가장자리를 넓게 하지요. 그런데 이 상의와 치마의 길이 비율은 조선 전기에 상하 1:1이던 것이 후기로 가면서 점차 1:3 정도가 됩니다. 전체 길이는 크게 변함이 없는데 상의가 짧아지고 치마가 길어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