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2.12.03

전세계가 인플레이션이 왔는데 왜 달러만 강세인건가요?

전세계가 코로나와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왔는데

아무리 기축통화라해도 다른 기축통화들은 나락을 가고 왜 유독 달러만 강세가 될 수 있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미국 연준(Fed)이 미국 돈의 가치인 '기준 금리'를 가장 많이 올렸기 때문이며, 그 외에 한국이나 일본, 여타 신흥국들의 경우 그 정도 수준으로까지는 금리를 올릴 여건이 안되었기에 소위 달러 초강세 국면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자국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인상정책이나 양적긴축정책과 더불어 강달러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예를들어 우리나라는 수입을 하는 제품들이 달러가격이 올라 더 가파른 물가상승을 불러오고 있는데, 미국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화폐(미국 달러)의 가치가 높은상태이니 상대적으로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인플레이션 수출이라고 표현하며 비판을 하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 것은 지난 코로나 시기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서 각 국가들이 발행한 많은 화폐 유통양에 의해서인데요.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 모든 국가들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중에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매우 빠르게 진행되면서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는 곧 달러강세 시장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A은행에서 3%, B은행에서 2%, C은행에서 1%의 금리를 준다고 한다면 당연히 모든 사람들은 A은행에 자금을 예치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A은행이 제일 안전한 은행이라면 더욱 수요가 몰리게 되는데요. 미국의 기준금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더 높아지게 되다보니 미국시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어서 달러의 강세시장이 형성되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 11월 10일 미국의 CPI지수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속도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완화된다는 말은 곧 다른 국가들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점점 좁혀지게 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미국과 다른 국가들의 기준금리 차이가 좁혀지게 될 것을 예상하게 되어 달러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되면서 달러가 약세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많이 낮습니다. 유럽은 우크라이나 사태, 일본은 20년째 불황을 겪고 있고요. 더욱이 일본은 여전이 이상황에서도 금리를 올리지 않는 저금리 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해외투자가들이 봤을 때는 미국이 금리가 더 높은 입장에서 미국에 투자하는게 훨씬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기축통화이면서 경제적인 영향을 제일 많이 끼치는 나라이기 때문에

    달러 강세가 지속되는거구요. 다른 약소국들도 달러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미국의 경제 영향에 맞춰서 세계가 돌아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쟁이 나면 그만큼 사람들은 더 안정적인 자산을 찾게되고 그게 달러로 몰리는거죠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달러가 압도적인 기축통화 역할을 하는 것은 미달러가 가장 안전한 자산 취급을 받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다른 준기축통화들인 유로화, 엔화 등은 미달러 대비 입지가 매우 약합니다. 유럽 경제는 이미 수렁에 빠져 있고 일본 정부는 아직도 제로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패권에 도전하고 있던 중국은 금리를 오히려 인하 하며 경제 경착륙에 대한 몸을 사리고 있습니다.

    미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압도적 위상과 안전자산의 입지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및 경제적인 불확실성한 요소로 인하여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서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3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가 과열과 인플레이션을 보이자 미국은 빠른 금리인상을 단행했습니다. 미국의 다른 국가들보다 빠른 금리 인상 전망은 외국 자본이 급격하게 미국으로 유입되도록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달러 강세가 유지되고 있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