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 주택 담보대출 금리가 6프로까지 올랐는데요 왜 이렇게 높은건가요
제가 현재 사용하는 마이너스 통장 같은 경우에는 금리가 5프로 중반대인것
같은데요 그런데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이 6프로까지 올랐다고 하는데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에서는 여러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기준금리와 별도로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으며 은행의 가산금리 또한 시장금리에 맞춰 상승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말이 되면서 부동산·가계대출 규제가 강해지면서 은행들이 인상 폭을 지표금리 이상으로 관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금리는 동일해도 은행의 조달 비용은 크게 변동합니다.
최근 금융시장 불안으로 은행채 금리가 올라 주담대 금리만 단독 상승한 상황입니다.
즉 기준금리와 주담대 금리는 직접 연동 구조가 아닙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에서 빌려주는 주택담보대출의 금리가 6퍼센트까지 오른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부동산이 너무 과열되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이런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규제하기 위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외에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이 높아져 대출의 원가 자체가 올랐습니다.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면서 은행들이 대출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서 가산금리를 올리거나 우대금리를 축소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원가 상승과 정책적 압박이 겹치면서 금리가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많이 오른 주된 이유는 미국 연준은 금리 인하 불확실성으로, 고금리 장기화 기조로 인해 국채 및 은행채 등 시장 금리가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나 은행채 금리가 높아지면서 은행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했고, 이 비용이 최종 대출 금리에 반영되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권에 금리에 반영되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권에 금리 인상을 사실상 유도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6%대로 오른 것은 몇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주된 이유는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인 시장금리가 상승했고,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 규제로 은행들이 대출 속도를 조절하려고 주담대의 가산금리를 높게 책정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담보가 있는 주담대가 담보가 없는 마이너스 통장(5%대)보다 금리가 더 높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현재의 높은 주담대 금리는 일반적인 시장 상황보다는 정책적 압력이 크게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은 주담대를 최대한 규제하는 정부 정책에 발맞추어서 대출을 줄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빌리고 싶다면 고금리에 가져가라는 것입니다.
또한 최근 금리가 지속적으로 동결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대출은 지속적으로 원하고 있기 때문에 은행은 배짱장사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동결된 상황에서도 시장금리가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로 대출 한도가 줄어들고 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주담대 금리가 신용대출보다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