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9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판매수입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궁금해서요.

예전에 한창 담배값인상이 이슈였던 때에 궁금한게 정부가 담뱃값을 올릴 때마다 그 이유로 흡연을 감소시켜 국민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라고 말을 하곤 하는데요. 이는 경제학적으로 타당한 논리인지요?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판매 수입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blue-check
    최현빈 경제전문가23.10.30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경제학적으로 볼때는 가격을 올려 흡연율을 일부 감소시킬 수는 있겠지만 전체 효용이 떨어지기 때문에 금연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또한 수요의 가격이 비탄력적인 재화이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던 떨어지던 수요에 큰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떤 재화의 가격변동의 비율에 대한 수요량이 변화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인 경우에는 가격을 내리면서 판매량은 더 많이 증가하게 되면서 오히려 수익이 상승하게 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 탄력성이 낮은 상품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게 제품의 총판매수입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이 됩니다.

    담배같은 경우는 가격 탄력성이 낮은 비탄력성 상품이므로, 가격을 올린다고 하더라도 수요를 줄이지 않는 것이 통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담배 같은 중독성이 강한 재화의 경우 가격의 수요 탄력성이 낮은 편입니다. 가령, 한 갑에 5천원 하는 담배 가격을 5배 정도 올린다면 수요가 줄어들 수 있으나 20~30% 정도 가격을 올린다고 수요가 크게 줄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대여섯배를 대폭 올려서 수요를 급감 시키게 되면 판매 수익 또한 줄겠으나 20~30% 정도의 가격 상승 시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낮아 수익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맞는 말입니다.

    가격을 올림으로써 수요가 떨어지는 등

    이것은 경제학의 일반적인 논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