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2.07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전기는 처음 만들어 질때

교류로 만들어 지나요 아니면 직류로 만들어 지는 겁니까?

또 왜 만들어 지는 대로 교류면 교류, 직류면 직류 이렇게 사용하지 않고

어떤 곳에서는 교류, 어떤 곳에서는 직류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에너지가 일정한 경우라면 주로 교류발전기를 사용합니다.교류 발전기는 회전수에 따라 주파수가 결정되기때문에 발전기도 일정한 속도로 돌려야 합니다. 수력이나 디젤,원자력은 모두 속도제어가 가능하기때문에 바로 교류 발전기를 사용하죠.


    태양광은 반도체를 이용하기때문에 바로 직류로 나오고 여기서 인버터를 거쳐서 교류를 만듭니다.

    풍력은 조금 다릅니다. 풍력은 바람의 세기에 따라 회전수가 달라지기때문에 여기서 나오는 전기를 바로 사용할수는 없습니다 물론 발전기 자체는 교류발전기이지만 여기서 나온 전기를 직류로 만들고 다시 그것을 60Hz 교류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교류를 사용하는 이유중 가장 큰 이유는 발전기 출력을 제어하기 쉽고 브러쉬가 없어서 수명이 길기때문입니다. 자동차의 경우 모두 직류를 사용하지만 자동차에서도 교류 발전기(3상 교류발전기)를 사용하는데 그이유가 수명과 출력전압제어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모두 교류발전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발전기가 만드는 전류는 교류입니다. 송전도 교류형태로 이뤄집니다. 직류를 사용하는 경우는 전자기기 내부에서 교류를 정류해서 직류로 안들어 사용 하는 경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