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3.10.20

민물고기와 바다물고기가 있는데 이 물고기들이 서로 다른 바다와 민물에서 살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물고기는 크게 민물고기와 바다물고기가 있잖아요. 그런데 바다 물고기는 민물에서는 살수가 없고 민물고기도 바다에서는 살수 없다고 들었는데 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약 35‰인데 반해, 민물의 염분 농도는 약 0.05‰입니다. 바닷물고기의 체액은 민물보다 염도가 높기 때문에, 민물에 들어가면 체액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반대로, 민물고기의 체액은 바닷물보다 염도가 낮기 때문에, 바닷물에 들어가면 체액이 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러한 삼투압 현상이 일어나면 물고기는 탈수되거나 과부하로 인해 죽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물은 민물에 비해 염분 농도가 높습니다. 바다물고기는 염분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특별히 적응된 신체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민물고기는 이러한 높은 염분 농도에 적응하지 못하고 염분 농도가 낮은 민물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바다는 큰 해류와 조류가 존재하며, 바다물고기는 이러한 수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먹이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 민물은 바다에 비해 해류와 조류가 적으며, 민물고기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생존 및 이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 체내 염분을 조절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바다물고기의 몸 안의 염도는 1.5%이고 바닷물의 염도는 약 3.5%입니다. 그래서 핏줄 속의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피의 농도를 바닷물의 농도와 비슷하게 만듭니다. 또 짠물을 많이 삼키면서 오줌은 조금 배출하며 과잉 염분은 아가미에 있는 특수 세포를 통해 외부로 내보냅니다. 만약 이 기능이 아니라면 바다물고기는 탈수증으로 죽게 됩니다. 또 농도가 낮은 민물에 가면 핏줄 속으로 수분이 침투해 핏줄이 팽창해서 죽게 됩니다.

    반대로 민물고기는 몸 속의 염도가 외부의 염도보다 낮기 때문에 신장을 통해 끊임없이 수분을 방출하고 염분을 섭취합니다. 그래서 민물고기가 바닷물에 들어가면 몸 안의 수분이 빠져나가며 죽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