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심리상담

기타 심리상담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심리적으로 독립하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성인이 된 후에도 부모의 지나친 간섭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심리적으로 독립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우 청소년상담사입니다.

    심리적 독립이란 부모와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목소리보다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뜻합니다.

    처음에는 심리적 독립이라는 것에 두렵고 혹은 미안한 마음이 들 수도 있습니다.

    이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이울이는 자율성을 찾은 자연스러운 감정들입니다.

    이러한 심리적 독립의 어려움은 애착과 가족에서의 역할등에서 비롯됩니다.

    어린 시절의 역기능적 관계나 애착불안 등이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어 부모와 감정적으로 혹은 부모의 요구를 받아드리는 것이 당연한듯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패턴은 자신이 아닌 부모의 기준으로 살아가는 '습관'을 형성하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심리적 독립(물리적 독립도 마찬가지입니다)을 할 때 많은 어려움을 낳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경계를 설정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는 부모/자녀 관계에서 성인대 성인으로의 대화를 하는 연습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 부모의 평가, 감정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을 가져서 자신의 목소리를 듣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혼자의 힘으로 이런 것들을 해나가기 어렵다고 생각이 든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스스로의 기준으로 선택하고 그 결과를 감당하는 연습을 통해 관게의 균형이 회복되고 마음이 단단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심리적 독립은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부모와의 건강한 경계선 설정이 첫 걸음인데, 이는 단호하지만 공격적이지 않게 자신의 의견과 결정권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해요. 때로는 "이 부분은 제가 결정할게요"라고 말하는 용기가 필요하며, 거절에 따르는 죄책감이나 불안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하는 법을 배워가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고, 가능하다면 물리적 거리를 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주변의 지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감정적 의존도를 분산시키고, 스스로 내린 결정에 책임을 지는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해요. 이 과정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성장통과 같은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