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시 무사고 할인과 보험 할증 관련해서 궁금합니다
현재 만 27세 운전 경력 1년 11개월차입니다
첫 보험료는 120가량 나왔고 무사고로 지나갔구요
두번째 보험 갱신때 차량을 바꾸면서 130 냈는데 3개월 전에 차 빼다가 옆에 주차된 차를 긁었습니다
보험접수해서 대물 70만원 나왔고 저는 크게 거슬리지 않는 정도라 수리를 안 했는데요
얼마 전에 보니까 긁힌 곳에서 녹이 올라오기 시작하더라구요ㅜ
나이도 어리고 경력도 적다보니 무사고 경력이라도 최대한 빨리 쌓는게 나은가? 싶어서 환입도 생각해봤는데 70은 오히려 손해인 거 같고..
어차피 환입을 안 할거면 자차로 제 차량까지 수리해도 총 200이 안 넘을텐데 200이 안 넘어도 건수로 따져서 오른다, 대물 자차 합쳐서 200 아래면 한건으로 친다, 200 아래는 무조건 무사고 할인만 사라지고 안 오른다 등등 말이 다 다르더라구요..
일단은 갱신이 한달 남아서 같은 보험사 견적 내보니 전년도랑 별 차이가 없습니다
이런 제 상황에 70만원을 환입을 하는게 나은지, 자차까지 써도 할증이 안 붙는다면 어차피 환입 안 할 거 제 차량도 수리하는 게 나은지, 아니면 물적할증 금액이 일정 기간동안 누적되는 거라면 또 만약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해서 환입도 수리도 안하고 두는게 나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대물처리를 했으니 보험사고 효율은 적용 됩니다.
자차 수리비 130만원 까지는 할증이 없으니, 본인 차량도 수리 하는것이 유리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이런 제 상황에 70만원을 환입을 하는게 나은지, 자차까지 써도 할증이 안 붙는다면 어차피 환입 안 할 거 제 차량도 수리하는 게 나은지, 아니면 물적할증 금액이 일정 기간동안 누적되는 거라면 또 만약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해서 환입도 수리도 안하고 두는게 나은지
: 년 보험료가 130만원이라면, 물적할증금이 200만원 미만이라면, 물적 할증이 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급보험금이 70만원이라면 할인못받는 금액보다 보험처리하심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나.
자차로 처리하심이 유리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