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시험에서 나오는 PLC는 어떤 시험인가요
전기기능장 시험에서 나오는 실기 문제 중에 PLC회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시험은 어떤 시험이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능장의 실습형 과제 중에 PLC 회로를 구성하여 작업을 완성을 해야 합니다. PLC는 Programmable Logic Computer의 약자로 회로를 접접으로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PC에서 로직을 구성해야 합니다. 이 구성된 로직의 입력과 출력 측에 전선을 연결해 장비 동작이 이루어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PLC, 즉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전기기능장 시험의 실기에서 반드시 출제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PLC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복잡한 제어 논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에서는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PLC 프로그램 작성, 배선, 디버깅 같은 실질적인 스킬을 묻습니다. 따라서 PLC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와 프로그래밍 방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평소에 다양한 PLC 문제를 풀고, 실제 하드웨어에서 테스트해보는 게 실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PLC 관련 학습 자료나 강의를 활용해 준비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 전력제어)는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기반의 디지털 제어장치에요.
PLC회로는 전동기 및 전등제어 작업을 하기 위해서
먼저 회로도를 보며 제어판 내부 기구 배치를 하고 배선작업을 해요.
배선작업이 완료되면 배관 및 기구를 규격에 맞게 설치하고
모든 작업이 마무리 되면 정상 작동이 되어야 합격하는 시험이에요.
전기기능장 실기시험은 현장에서 직접 만저보며 준비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전기학원에서 수강하는 것이 좋은데요.
1.배움카드 지원이 가능하니 없다면 미리 고용센터 등 신청하세요.
2.실기연습 및 시험 보려면 공구가 준비되어야 해요.
(와이어 스트리퍼, +-드라이버, 50~60cm 자, 종이테이크, 회로시험기(벨테스터), 필기구(색깔별볼펜, 네임펜, 형광펜 등), 파이프 커터, 충전용 드릴, 스프링 벤더, 절연장갑 등)
그리고 실기시험 공개문제가 있어 회로도를 보며 배선작업과 배관작업 꾸준히 연습하며 준비하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