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에서 러브버그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러브버그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몇 년간 특정 지역에서 러브버그의 개체 수가 급증한 원인과 환경적인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는 무역과 항공 교통을 통해 외래종으로 유입된 뒤, 장맛비 후 고온다습한 날씨와 같은 기후 조건이 번식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한국 생태계에 천적이 거의 없어 자연적인 개체 조절이 어려우며, 방제도 제한적이어서 최근 특정 지역에서 개체 수가 급증하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서 러브버그가 많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다습한 환경 조성과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 때문입니다. 러브버그는 26도 이상의 고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의 5~6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고 겨울철 추위가 약해지면서 이들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도시 지역에서는 인위적인 조명과 자동차 배기가스에 러브버그가 끌리는 특성도 영향을 미치며, 천적 감소 등 생태계의 불균형 또한 러브버그 개체 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 가장 큰 이유는 환경 변화 때문입니다.

    러브버그는 원래 중국 남부, 대만 등 아열대 기후에서 주로 서식하는 곤충입니다. 한국의 기후가 점차 아열대성으로 변해가면서 러브버그가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죠. 특히 5~6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면서 러브버그의 대사 활동이 활발해지고 번식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또한 겨울도 춥지 않아 러브버그 유충의 월동 생존율이 높아져 다음 해 개체 수가 더 많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장마철과 같은 높은 습도가 유지되는 시기에 더욱 자주 나타나는데, 가뭄이 길어지다가 장마가 시작되면 고온다습한 환경이 조성되어 한꺼번에 우화하는 경향도 있죠.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최근 특히 지금 엄청나게 많이 늘어 나고 있는데요

    고온다습한 기온 및 습도가 도시열섬으로 번식대 확대, 천적 감소 등이 원인으로 예상이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