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러브버그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러브버그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몇 년간 특정 지역에서 러브버그의 개체 수가 급증한 원인과 환경적인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는 무역과 항공 교통을 통해 외래종으로 유입된 뒤, 장맛비 후 고온다습한 날씨와 같은 기후 조건이 번식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한국 생태계에 천적이 거의 없어 자연적인 개체 조절이 어려우며, 방제도 제한적이어서 최근 특정 지역에서 개체 수가 급증하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러브버그가 많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다습한 환경 조성과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 때문입니다. 러브버그는 26도 이상의 고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의 5~6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고 겨울철 추위가 약해지면서 이들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도시 지역에서는 인위적인 조명과 자동차 배기가스에 러브버그가 끌리는 특성도 영향을 미치며, 천적 감소 등 생태계의 불균형 또한 러브버그 개체 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가장 큰 이유는 환경 변화 때문입니다.
러브버그는 원래 중국 남부, 대만 등 아열대 기후에서 주로 서식하는 곤충입니다. 한국의 기후가 점차 아열대성으로 변해가면서 러브버그가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죠. 특히 5~6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면서 러브버그의 대사 활동이 활발해지고 번식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또한 겨울도 춥지 않아 러브버그 유충의 월동 생존율이 높아져 다음 해 개체 수가 더 많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장마철과 같은 높은 습도가 유지되는 시기에 더욱 자주 나타나는데, 가뭄이 길어지다가 장마가 시작되면 고온다습한 환경이 조성되어 한꺼번에 우화하는 경향도 있죠.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최근 특히 지금 엄청나게 많이 늘어 나고 있는데요
고온다습한 기온 및 습도가 도시열섬으로 번식대 확대, 천적 감소 등이 원인으로 예상이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