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사상은 다른 유교 사상가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춘추전국시대의 유명한 유교 사상가로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와 맹자, 순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순자는 다른 유교사상가와 사상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순자의 사상은 사람은 태어난 그대로는 선(善)해질 수 없다고 하여 예(사회적 규범)를 통한 검속(檢束)을 중시했
고, 아울러 객관적인 교학의 정비에 노력하였다.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춘추전국시대는 중국의 역사적 시기로서, 여러 국가들이 전쟁과 동시에 문화와 철학적인 발전을 이루었던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유명한 유교사상가인 공자, 맹자, 순자 등이 활동하였습니다.
공자와 맹자는 유교의 핵심 개념인 예(禮)와 도(道) 등을 중심으로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순자는 이들과 달리, 인간의 선한 본성을 믿고, 선(善)과 악(惡)을 구분하며, 선한 것을 따르고 악한 것을 버리는 것이 인간의 삶의 목적이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순자는 인간의 선한 본성을 믿으며, 이를 교육과 도덕적 가르침으로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공자와 맹자는 예와 도를 중심으로 한 유교의 핵심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간을 성숙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중요시하며, 교육과 도덕적인 가르침을 통해 이를 발전시키는 것이 인간의 삶의 목적이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유교사상과 교육
http://kocw-n.xcache.kinxcdn.com › data › jeonju
PDF
유교의 역사와 사상. 1) 공자. 2) 맹자. 3) 순자. 4) 주자. 2. 유교적 전통의 마음관. 3. 유학의 공부론. 1) 교육의 어원적 의미. 2) 논어의 학이편에 나타난 배움의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에서는 인간은 선하게 태어난다는 성선설에 바탕을 두고 교육을 통해 선을 확충해가면 항상 선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반에 순자는 인간은 이기적 욕구를 지니고 있는 악한 존재라는 성악설을 주장합니다. 순자의 제자인 한비자나 이사가 법가 사상가로 분류되는데 순자는 유교사상가인 이유는 한비자나 이사는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으니 형벌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비해 순자는 교육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보았기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