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GDP의 역성장과 금리인하에 대해 궁금합니다.
어제 미국의 GDP가 역성장 확정치 발표가 되면서 금리인하를
안할 수 없게 되었다는 기사들을 접했는데요.
GDP와 금리는 어떤 관계가 있는것인지 왜 GDP가 역성장이면 금리인하를
할 수 밖에 없다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GDP가 역성장하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중앙은행은 경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을 때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내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2025년 GDP 전망치가 0.8%로 하락하자 0.25% 금리 인하를 단행했습니다. 다만, 물가 상승 압력이 강할 경우 금리 인하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GDP란 말그대로 국가 총생산 경제성장률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데요. 경제성장이 역성장했다는 것은 후퇴했다는 것으로, 국가가 당연하게도 성장하는 것이 기본인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하면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진다는 것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를 부양해야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성장을 말할때 GDP 성장률을 말합니다 그게 2분기 미국이 -0.5% 역성장했다는거죠
경기가 안 좋다는겁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했습니다 경기가 그만큼 안좋다는거죠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해서 시중 통화량을 날려서 경기 부양에 나선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GDP의 역성장은 경기 침체 및 둔화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중앙은행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하여 금리 인하를 고려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GDP와 금리인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정부들은 경제가 침체가 되면
금리 인하를 통해서 경제 부양을 시도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GDP는 한 국가의 경제 규모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런 GDP가 역성장을 기록하는 것은 금리인하를 연준에서 안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경제가 역성장할때는 금리 인하를 해 시중에 자금을 풀고 대출이자 부담을 줄여 기업의 투자와 소비촉진이 필요한 상황이지요. 금리인하는 경제 침체를 회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금리인하를 결정하는곳은 각국의 중앙은행입니다. 즉 정부가 아니라 중앙은행이 담당하며 이 기준금리를 인하를 결정하는것은 바로 크게 두가지입니다.
바로 물가와 실물경제상황입니다. 즉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물가이며 물가가 상승하는것을 막기 위해서 금리를 조절하며 두번째가 바로 실물경제입니다. 즉 중앙은행은 실물경제가 크게 하락사이클이나 연착륙하는것을 막기위해서 선제적으로 대응을 하는게 중요하며 이때 GDP가 하락하고 역성장을 보인다는것은 경제가 하락사이클로 접어들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해서 막겠다는 의미입니다